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북한의 근로단체(조선민주녀성동맹; 이후 여맹)에 속한 여성들이 지역사회의 복지자원으로서 어떤 역할을 해 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북한이탈주민들 중 북한에서 여맹활동의 경험이 있는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진행하였고, 여맹에서의 경험과 여맹의 복지관련 활동에 관해 질문하였다. 그 결과, 여맹원들은 체제 유지를 위한 동원인력으로 속박되어 있었으며, 고난의 행군 이후 배급이 중단되면서 개인의 경제활동은 물론 외화벌이와 군대지원까지 역할이 확대되어 여맹원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었다. 또한 고난의 행군 이후, 지역단위에서 주민들과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고아와 노인과 같은 요보호자들의 생활과 주민들의 가정사를 돕는 복지관련 활동을 하고 있었다. 분석 결과 정치적 강제조직으로서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 으로 운영하는 여맹에 속한 여성들이 실제로 지역사회 안에서는 주민의 복지적인 욕구 해결을 위해 조력하는 인적자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통일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토착적 인적자원으로서 여맹원들이 지역사회 문제 발굴과 해결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가능성을 담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the roles of the members of CDWF(Cho-Sun Democracy Women's Federation) as community welfare resources in North. The Focus Group interviews(FGI) were held with ten North Korean refugees(defectors) who were the members of CDWF with basic questions about their experiences and activities in CDW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mbers of CDWF were bounded by mobilization forces for the maintenance of the North Korean regime until the 80's. While putting more pressure on the members of CDWF, the roles of women were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individual economic activities, but also foreign currency earnings and military support. However, after the March of Suffering during the 90's, they were engaged in welfare-related activities to take a role of important caretakers for orphans and senior citizens and their families. Although CDWF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social order as a political force, the members were actually involved in providing care as community welfare resources to solve the needs and problems of the residents.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CDWF members could play a pivotal role as an active human resource for promoting unification social welfare in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