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활동이 집단지성에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의 SNS 활동과 집단지성 간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청소년 30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SNS 이용 강도와 이용 동기, 공동체의식, 집단지성은 모두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SNS 이용 강도와 이용 동기는 집단지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이용 강도와 집단지성, SNS 이용 동기와 집단지성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지성에 대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이용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 동기의 하위요인 중에서도 정보추구 동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에게 SNS는 짧은 시간, 수시로 접속하여 자신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일상적 행위가 되었으며, 그러한 이용행태로 다수의 구성원과 상호작용할 때 강한 감정적 연계를 느끼며 분명한 목적을 인식하고 높은 공동체의식을 갖춤으로써 집단지성 발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정보를 목적으로 SNS를 이용하는 청소년이 집단지성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활동과 집단지성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집단지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 공동체의식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집단지성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둔 시점에서 사회적 자본 형성의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공동체의식을 통한 집단지성의 향상은 앞으로 사회적 자본의 양과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를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youths’ social media activities on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community on their relationship.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on 305 valid questionnaires. There were several key findings that resulted. First, the amount of youths’ social media use and the reason for use, sense of communit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Second, the amount of youths’ social media use and the reason for use positively influenced collective intelligence. Additionally, a sense of commun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social media use and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son for using social media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hir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collective intelligence was the reason for using social media, and in particular, the subfactor of seeking inform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social media has become a daily activity for youths to briefly and frequently access and obtain the information they need; they experience a strong emotional connection when interacting with a large number of members through the use of social media; and clear goals and a high level of a sense of community likely lead to a manifest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particular, youths who use social media when seeking information are likely to generate collective intelligence and be better able to utilize it. The study has particular merit in that it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a sense of community in explaining collective intelligence. In addition, collective intelligenc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value of social capital formation ahea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the sense of community is expected to emerge as an important factor for enhanc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ocial capital in the future. This will have major implications for ongoing development and research on various programs designed to enhance youths’ sense of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