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공정임금이라는 주제로 정치 및 사회에서 많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종업원 사이에 최적의 임금격차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선행연구에서는 임금격차와 조직성과의 전략적 관계를 주로 논의하였고, 본 논문은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한 분야로 여겨지고 있는 임금격차와 구성원의 태도 사이의 미시적 탐구를 통해 임금격차의 이론적 메커니즘을 확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공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임금격차가 조직몰입에 역U자 관계를 나타내며, 공정성 지각이 이를 매개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다수준분석 결과, 임금격차는 공정성 지각과 조직몰입과 역U자 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공정성 지각이 임금격차와 조직몰입을 부분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탐색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종업원 사이의 임금격차의 균형이 필요하며, 전략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discussion in politics and society under the theme of fair pay. Studies are required on what is the optimum pay dispersion among employees. The recent studies mainly discussed the strategic relationship between pay dispers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paper aims to expand the theoretical mechanism of pay dispersion through a micro search between pay dispersion and the attitude of members. This study, based on the fairness theory, predicted that pay dispersion would indicate a reverse U-shaped relationship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at fairness perception would mediated. As a result of a multilevel analysis, the pay dispersion represented a reverse U-shaped relationship with perceived fairness/organization commitment. And fairness perception mediate the pay disper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se exploratory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at a balance of pay dispersion between employees is necessary and strategic management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