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ㄷ’말음 체언이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지 관찰하고 그 변화의 기제를 고찰해 보았다. ‘ㄷ’말음 체언 중에서 현대국어까지 반사형이 이어지고 있는 8개의 단어, 즉 ‘갇, 붇, 낟, 몯, 빋, 벋, ᄠᅳᆮ, 곧’에 한정하여 그 변화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였다. 문헌상으로 ‘갇, 붇, 낟, 몯, 빋’ 등이 18세기에 변화가 활발하게 진행되며 ‘벋, ᄠᅳᆮ, 곧’ 등은 19세기 후반에 가서야 변화가 시작된다. ‘ㄷ’말음 체언의 변화 기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ㄷ>ㅅ’의 변화는 ‘ㄷ’말음 어간이 ‘ㅅ’말음 어간의 패러다임으로 곡용형을 바꾸는 유추 변화인데 이는 표면형들 사이에 존재하는 틀을 바탕으로 하며 단독형을 축으로 하여 일어난다. 둘째, ‘ㄷ>ㅅ’의 유추 변화는 각 단어의 사용 빈도수가 큰 영향을 미쳐 단어에 따라, 나아가 한 단어 안에서도 곡용형에 따라 변화 시기가 다르다. 셋째, ‘ㄷ>ㅅ’의 변화는 ‘ㄷ>ㅈ’의 변화와 경쟁 관계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두 변화는 모두 유추 변화이기는 하지만 그 변화의 축과 적용 범위가 서로 다르다. 그런데 결국 ‘ㄷ>ㅅ’의 유추 변화가 절대적 우세를 보인다.


In this paper, I observed diachronically the aspects of the changes of the ‘t’-final nouns and investigated the mechanisms of those changes. I observed closely the processes of changes in the 8 words, ‘kat, put, nat, mot, pit, peot, pteut, kot’ which are still used in Modern Korean. In the literatures, ‘kat, put, nat, mot, pit’ changed actively in the 18th century, the changes of the ‘peot, pteut, kot’ began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change mechanisms of the noun-final ‘t’ are as follows. First, the ‘t>s’ change is analogical one which paradigms of the ‘t’-final stems change into ones of the ‘s’-final stems. And this change is based on the schema existing between the surface forms. Secondly, this analogical change is influenced by the frequency of each word. So the timings of chang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kind of word, and also according to the declensional forms in the same word. Thirdly, the change of ‘t>s’ competes with the change of ‘t>ʧ’. These two changes are the same in that they are analogical changes, but the pivots and scopes of change are different. These competing changes finally have resulted in the absolute superiority of ‘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