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계몽기인 1908년에 간행된 잡지 『장학보』는 최초로 소설 현상모집을 실시했다는 선험적 평가에 비해 구체적인 논의는 진행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출발했다. 『장학보』는 당시 실력양성론자들의 주요 화두였던 ‘우승열패’ 논리를 현상모집의 방식으로 수용했다고 할 수 있다. 『장학보』 작품에는 고소설적 요소가 상당 부분 존재한다. 전지적 작가의 논평적 개입, ∼더라체의 편재화, 대화 인용 지표인 ‘왈’의 사용, 꿈(우화)의 활용, 과도한 요약 방식이 바로 그것이다. 이는 작가층이 근대교육을 받은 세대들이라 할지라도 문학양식의 학습에서는 고전소설에 보다 익숙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작품이 직간접적으로 당대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시대상을 반영한 어휘나 문장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으며, 일부 작품에서는 묘사의 확대, 지문과 대화의 구분, 진일보한 부호 사용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순 국문체의 고집은 순 우리말에 눈뜨게 하였고, 그만큼 묘사의 확장에 기여하도록 했다. 『장학보』는 현상모집이라는 공론의 장을 통해 근대소설로 나아가는 치열한 고민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The 『Janghakbo』 started in 1908 and it is the first time in Korea that it has recruited a short novel. I have analyzed the role of this magazine in the history of our literature based on the nature of this magazine through a careful analysis of the magazine. The works of this magazine are mixed with modern fictional elements, which are old-fashioned elements. Classical novel factors include the point of view of the writer, narrator's comment, and the description of the excessive abstract method. New novel elements include specific time and space backgrounds, use of new vocabulary to reflect the times, enlargement of description, and the distinction between narration and dialogue. Above all, this novel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colloquialization of Korean novels. Also, all novels do not contain the character of pro-Japanese. It is also the performance of this magazine that brought up the representative writer, Yuk Jeong-su of the enlightenment period. Balanced Enlightenment In order to describe the history of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reveal the collective existence of Enlightenment literature by escaping the discussion centered on the masterpieces of existing writers. Therefore,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Janghak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