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문학과 금기의 사회학’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장용학의 소설이 어떻게 한국사회의 금기와 대결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용학은 일찍이 자신의 소설이 사회적 금기에 대한 도전임을 밝힌 적이 있다. 따라서 그가 왜 금기에 도전하고 있는가를 살피기 위하여 금기의 계보와 기능을 살펴보았다. 금기는 ‘위반’보다는 다양한 사회체를 구성하는 ‘토템’과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프로이트와 니체 등에 따르면, 여러 사회는 ‘토템과 터부’라는 두 기재를 통해 작동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원시사회체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토템과 터부가 존재했다. 그런데 태초의 국가인 전제군주제가 출현하자 모든 토템과 터부는 ‘전제군주와 그의 법(표정)’에 의하여 재정립된다. 신체들은 자신의 능동성을 상실하고 전제군주의 토템과 터부에 맞게 코드화 된다. 그 후 근대국민국가가 출현하면서 토템과 터부는 ‘국민(민족)과 법’의 형태로 변화한다. 이제 신체 자신이 국가의 토템이 되고, 스스로 법에 구속된다. 다시 말해 근대국가는 신체들을 끊임없이 ‘국민’으로 만들어야 했다. 이상에 따르면 금기는 사회체의 작동과 존속을 위하여 신체의 능력을 구속하고 제약한 장치들이다. 장용학은 전기의 몇몇 소설들에서 이미 무의식화 된 ‘동종포식금지’, ‘근친상간금지’ 등의 금기를 의지적으로 어기는 인물을 보여준다. 이러한 인물들은 능동적으로 ‘비인간’이 되고자 한다. 이와 달리 후기 소설들에서는 신체를 예속하는 국가폭력에 강하게 저항한다. 국가는 자신의 토템과 터부를 구성해야만 존속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체들을 국민주체로 호명하고 법으로 구속하기 때문이다. 장용학이 자신의 소설을 통해 금기에 저항하고 이를 초극하고자 하는 것은 단순히 금기가 금지하는 결핍을 욕망하기 때문이 아니다. 그는 금기가 지향하는 목적 자체(사회체가 요구하는 인간형상)가 무의미한 것이므로 이를 초극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모든 신체들이 예속에서 벗어나 능동성을 회복하기를 원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s for how Jang Yong-hak's novels confront taboos in Korean society and investigate the meaning with regards to "Korean Literature and Sociology of Taboos". Jang Yong-hak has once announced that his novels are the challenge to social taboos. Hence, I have traced the genealogy of taboos and its functions to clarify the reasons for his challenge to society. Taboos are more related to 'totems' which constitute various societies than 'transgression.' According to Freud and Nietzsche, many societies are operated by two mechanisms of 'totems and taboos.' Historically, there had been diverse and heterogeneous totems and taboos in a primitive society. However, when despotic monarchy appears as a primitive state, all the totems and taboos are reestablished by 'despotic monarchy and his law (expression).' Bodies lose their own actions and are encoded for totems and taboos. And then totems and taboos are transformed into 'nation (people) and law,' as nation-state appears. Finally, the body itself becomes nation's totem and is voluntarily subjected to legal sanction. In other words, the modern state has incessantly changed bodies into 'nation.' I can state that taboos are the mechanism which restricts and constrains the ability of bodies for the operation and preservation of a society. It is not desirable to make Jang challenge and overcome taboos in his novels. It is useless for him to pursue the objects that society demands and he has attempted to overcome them. He wanted all the bodies to recover their own activity out of subj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