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감사가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감사가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책임감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학(원)생 386명을 대상으로, 감사 성향 및 사회적 유대감, 사회적 책임감, 이타행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 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감사, 사회적 유대감, 사회적 책임감, 이타행동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감사와 이타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감사와 이타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책임감의 순차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altruistic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responsibility.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survey was conducted on 386 college students using Korean version of the Gratitude Questionnaire(K-GQ-6), Altruistic behavior scale, The Social Connectedness and the Social Assurance Scale, and Social Responsibility subscale in Character Strengths Test(CS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 in a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gratitude, social connectedness, social responsibility, altruistic behavior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Social connectednes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gratitude and altruistic behavior. Third,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responsibility showed partial sequen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gratitude and altruistic behavior. In conclus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