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유길준의 『大韓文典』(1908, 1909)과 안자산의 『修正 朝鮮文法』(1923)에서 기술하고 있는 ‘호응’에 대해 고찰하였다. 호응이란 하나의 문장 안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특정한 형식의 구성요소의 실현을 요구하는 것이다. 유길준의 『大韓文典』(1908)에서는 호응을 동체호응, 이체호응, 결미호응 등 세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호응은 모두 시제 일치 문제를 다루고 있다. 『大韓文典』(1909)에서는 순체호응과 반체호응 두 가지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연결어미 관련 호응이다. 안자산의 『修正朝鮮文法』(1923)의 호응에 대한 기술은 유길준 문법의 그것보다 진일보한 것으로 보인다. 호응을 하나의 문법적 제약으로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호응의 유형을 상대적으로 더 세분화하여, 動作의 呼應, 時의 呼應, 反對의 呼應, 未定의 呼應, 願望의 呼應 등의 다섯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안자산 문법의 호응 관련 부분은 다루고 있는 자료의 범위와 양, 설명의 구체성과 정확성, 자료의 체계적인 분류와 분석 등에서 유길준 문법보다 상당히 발전된 문법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The aim of the article is to illuminate the Concord of Yoo Giljun’s 『Taehanmunjeon』(1908, 1909) and An Jasan’s 『Sujeongjoseonmunbeop』(1923). Concord is a grammatical characteristics some constituent request the constituent with particular form. For this, to begin with, the article compared all exemplary sentences employed in these grammars. After that, by analysing and comparing the definitions of terms shown in two grammars, the article revealed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m and, furthermore, worked to investigate the analytical methods of sentence structures in two grammars. The types of concord in Yoo Giljun’s 『Taehanmunjeon』(1908) are ‘same form concord’, ‘different form concord’ and ‘ending concord’. These all deals with various phenomena related to tense agreement. The types of concord in Yoo Giljun’s 『Taehanmunjeon』(1909) are ‘concurrent concord’ and ‘countercurrent concord’, and ‘ending concord’. These all deals with various phenomena related to connective endings. The description of concord in An Jasan’s 『Sujeongjoseonmunbeop』 (1923) is better than Yoo Giljun's description of that. The types of concord in An Jasan’s 『Sujeongjoseonmunbeop』(1923) are ‘action concord’, ‘tense concord’, ‘opposition concord’, ‘undecided concord’ and ‘wish conc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