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물에 대한 윤리적 논의는 그 동안 농장 동물과 실험동물에 집중되었고 애완동물에 대한 논의는 미미하였다. 농장 동물과 실험동물에 비해 애완동물이 우리 주변에서 더 자주 볼 수 있고 친숙하기에 윤리적 논의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애완동물이 존재하는 것 자체가 윤리적으로 옳으냐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려고 한다. 설령 애완동물이 인간으로부터 애정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애완동물을 태어나게 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바람직한가 묻는 것이다. 그것을 위해 프루와 워치니안스키의 두 가지 모형을 변형한 세 가지 모형, 곧 장난감, 피보호자, 반려 모형을 제시하고 각 모형에서 애완동물이 적합한지 살펴보려고 한다. 나는 애완동물은 이 세 가지 모형 어디에도 적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 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애완동물의 의존성과 취약성이 핵심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그렇다면 애완동물에 대한 다른 적합한 모형이 있기 전까지는 애완동물을 존재하지 않게 하는 것이 옳다는 결론을 내릴 것이다.


Ethical discussions on animals have focused on farm animals and laboratory animals, and discussions on pets have been minimal. Such discussion is needed because pets are more usual around us and more familiar to us than farm animals and laboratory animals. This paper tries to ask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ether the existence of a pet itself is ethically correct. Even if a pet receives affection from humans, we must ask whether it is ethically correct to have a pet born. To that end, we propose three models, Toy, Dependent and Companion Models, which are modified from the two models of Furuh and Wirchnianski. I will show that pets do not fit anywhere on these three models. In this process, the dependence and vulnerability of pets will be mainly discussed. I conclude that we must stop pets from being present until there are other suitable models for p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