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서울시 마을공동체 기획이 5년 차에 어들면서, 사업의 제도 성숙과 지속가능성을 두고 다양한 논의가 이루 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공동자원(commons) 논의를 바탕으로 마을 활동가들의 인식 유형화 를 시도한다. 분석 결과, 서울시 마을 활동가들의 인식 유형은 총 네 가지로 도출다. 첫 번째 유형은 ‘자치 결 사체 시형’으로 공동체와 공동자원의 소규모, 배타 운용을 시하고, 마을을 매개로 한 정치 역량 강화를 꾀했다. 두 번째 유형인 ‘포용 의체 시형’은 마을의 내부 의 기구를 시하고, 포용 공동체를 지향 한다. 세 번째 유형은 ‘행정 거버스 시형’으로 마을공동체 사업을 공공사업의 일환으로 인식하고, 공동체 략 설정에 있어 행정의 향력을 정하다. 네 번째 유형은 ‘가치 기반 사업 시형’으로 마을공동체의 생 태 복지 기능을 옹호하고, 지역 자원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 략을 선호했다. 본 연구는 공동자원의 (commons perspective)을 마을 활동가 집단에 투함으로써, 행자의 주 인식이 지속 가능한 마을공동체 략 구축에 요하다는 을 시사한다.


This study begins with a question: “Will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Seoul be able to continue its growth as a sustainable community?” Elinor Ostrom has effectively proven her point against the “Tragedy of the Commons” by investigating how commons and its collective practices enable sustainable governance in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is idea, the study aims to categorize an array of perceptions on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in Seoul by employing the concept of CPR(common-pool resources) design principles and village community functions through Q methodology. The analysis on the 30 participants show that they can be divided in four types based on their perception toward the village community plan: Type A that pursues a self-governed community, Type B that pursues an inclusive community strategy, Type C that pursues a public-oriented community plan, and Type D that pursues value-based community activities. This study expands the application of commons to community project, and promotes strategic diversification of its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