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폭력 가해 경험이 있는 위험군들을 대상으로 성폭력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특성들을 기초로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가해 위험군에 대한 맞춤형 중재프로그램의 기초 모형을 구성하고자 수행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각각 다른 지역의 중․고등학교 2곳에 재학 중인 212명의 남·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추출된 변인들에 대해 데이터 마이닝의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본적으로 성과 청소년전기(중학생)과 청소년후기(고등학생)에 따라 모형을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이지만 성폭력 가해행동에는 안정된 요인들의 작용이 확인되었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폭력 가해행동의 결정모형을 살펴보면 공감은 안정된 탄력성 요인이며, 성역할 태도의 경직성과 성폭력 통념은 위험요인 중에서도 일관된 취약성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별차이와 발달적인 패턴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육적 중재방안을 설계할 때는 개인의 위험 및 보호요인 등의 관계와 활용 가능성 등을 세분화해서 적용해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표집은 성폭력 가해행동의 위험군이었기 때문에 실제적인 성폭력 가해행동의 대상자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와 관련된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on sex violence and to construct a discriminant model that is composed of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factors among adolescents. The analysis was to differentiat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by applying the decision tree analysis on sex and school grade sampling. sex-role ideology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cases of sex violence adolescents. The more rigid sex role attitude is cumulated, the more rate of sex violence is increased. But in the case of sexual assertative factors, its tendency is reverse. Its means that self assertative factor were linked self esteem on the sexual offender. Empathy were significant variables on middle school adolescents. Especially,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were non empathic attitude linked sex violence tolerance. These results mean that the intervention about self esteem is not appropriate for youth at risk. The interactive offender-victim discriminant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was more valid and appropriate model than single independent perspective on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model for youth at risk that suggested in studies.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of developing tailored intervention for youth at risk. Therefore, in spite of these risk factors still exist, it may mean that empathy and flexible sex role training can bumpers on sex violence behavior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