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문화콘텐츠학은 한국에서 創發된 새로운 학문이다. 문화콘텐츠학은 문화콘텐 츠의 창출을 전제한다는 점에서 실천적 인문학으로서의 속성을 지닌다. 문화콘 텐츠학은 이러한 측면에서 ‘21세기형 실학’에 비견되기도 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실학의 맥락에서 문화콘텐츠학의 위상을 점검해 보았다. 실학의 맥락에서 문화콘텐츠학의 위상을 점검함에 있어 ‘신실학론’을 참조하였다. 그리고 실학과 관련해서 이루어진 디지털론과 문화콘텐츠론의 논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문화콘텐츠학과 신실학”이라는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해서 얻은 시사점은 ‘혁신’의 모티브와 ‘학문의 운동성’이었다. 구체적으로, 무수한 실학자들과 무수한 실학시대 호사가들과의 다양한 만남을 통해 ‘혁신’의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를 매개로 한 ‘연장’과 플랫폼을 매개로한 ‘확장’의 흐름은 문화콘텐츠학의 실사구시적 경향을 한 차원 깊게 만들어 줄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문화콘텐츠의 공공적 가능성을 통해서 문화콘텐츠학의 실제적 잠재성을 찾을 수 있었다.


Cultural content studies is a new discipline created in Korea. Cultural content studies has the attribute of practical humanities because it presupposes the creation of cultural contents. Cultural content studies was compared with ‘21st century type of Shilhak’ in this respect. In this thesis, I examined the status of cultural content studies in the context of Shilhak. In the context of Shilhak, I refered to the theory of ‘New Shilhak’ in examining the status of cultural content studies. And I analyzed the discourse of the theory of digital culture and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se processes, the implications for the theme of this thesis, “cultural content studies and New Shilhak” were ‘motive of Innovation’ and ‘directivity of academic activities’. Specifically, it will be able to find the direction of ‘innovation’ through various meetings with countless Shilhak Scholars and dilettantes.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flow of ‘extension’ by the user and ‘expansion’ by the platform will deepen the positivistic trend of culture content studies. In addition, because of the public possibility of cultural contents, I could find the practical potential of culture content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