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완전동사 kriegen 동사가 조동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새로운 패러다 임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 의미있는 현상 중에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수여자수동으로 이해되는 과거분사와 함께 사용되는 kriegen 구문은 경우에 따라 결과구문으로 해석될 여지가 많아 모호하다. 본 논문은 수여자수동과 결과구문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kriegen 구문에 대해 다루는데 중점을 두었다. 우선 수여자수동의 특징과 사용범위를 살펴보았고 이후 결과구문으로 해석될수 있는 구문을 검토해 보았다. kriegen 구문은 조동사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 지만 그 동사 자체의 의미가 존재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kriegen 구문의 중의성은 조동사로 가는 일종의 문법화 과정으로 보고 있다. 이 구문 에서 더 이상 수혜자가 아닌 주어가 출현할 수 있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kriegen 구문에 대해서 동작태와 윤곽부여 개념을 적용 하여 과거분사의 원래 동사의 동작태와 각 구문과 상호작용을 하여 결과구문과 수여자수동이 서로 다른 부분을 윤곽부여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형태, 통사적으로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수여자수동과 결과구문은 어느 부분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주어의 의미 확장이나 목적어와 과거분사의 관계를 파악하기 보다는 전체로서 구문의 특성을 분석하고 동사 행위와 상호작용성을 강조하여 구문들이 구분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Fokus vorliegender Arbeit ist die Frage, wie sich die kriegen-Konstruktionen aus kognitiver Perspektive beschreiben lassen. Es wurde vor allem dafür argumentiert, dass die kriegen-Konstruktionen nicht nur als Rezipientenpassiv, sondern auch als Resultativ betrachtet werden können. Aus diesem Grund versucht diese Arbeit, die Ambiguität zwischen Rezipientenpassiv und Resultativ aufzulösen. Es ist auch auffällig, dass in den kriegen-Konstruktionen nur eine bestimmte Aktionsart auftrifft, nämlich Accomplishment. Man muss daher der Frage nachgehen, ob Aktionsarten eine Rolle bei der Unterscheidung zwischen Rezipientenpassiv und Resultativ spielen können. Des Weiteren wird der Versuch unternommen, Aktionsarten und Konstruktionen als Profilierung darzustellen. Diese Analyse hat den Vorteil, dass sie eine sprachenübergreifende Darstellung grammatischer Beziehungen in den kriegen-Konstruktionen ermöglicht. Darüber hinaus wird eine korpuslinguistische Methode eingesetzt, um eine detaillierte Charakterisierung der kriegen-Konstruktionen zu gewinn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