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통합학급 상황에서의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의 현주소를 밝히는데 있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학생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진로교육 실태 그리고 그들의 요구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서 전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62개의 초등학교에서 통합학급 담임교사 경험을 가지고 있는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 장애학생에게 진로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90%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진로교육 시작 시기에 대해서도 약 80%가 유치원과 초등학교라고 답하였다. 그에 반하여 실시여부에 대해서는 50% 이상이 실시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진로상담에 있어서도 약 80%가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충분히 인식하지만 실제 현장에서의 교육은 매우 미흡한 수준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통합교사의 특수교육과 진로교육 관련 연수는 진로교육 실시 여부 등에서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통합학급 교사의 진로교육 요구 등을 통해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점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e of career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education setting. Therefore, the researcher examined the perception of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on the career education of elementary student with disabilities, actual condition and their demands comprehensively. As a survey study, this study performed the questionnaire survey with 135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having experience as inclusive class teacher in 62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onnam.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nswer that the career education is needed for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occupied more than 90%, and 80% of them answered that the timing of starting the career education should be the kindergarten and the elementary school. In contrast, more than 50% answered that the career education is not performed, and approximately 80% answered that the career counseling is not performed, which means that the needs of career education are recognized but the education in the actual field is not sufficient.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special education and the training related to the career education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lementation of career education. The researcher intended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matters to be improved in the career education for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demand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 for the career education,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