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진로진학상담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진로진학상담 슈퍼비전에서 다루어야 할 교육내용에 대한 중요도를 비교함으로써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2명의 전문가 패널에 의한 AHP 분석기법을 통해 진로진학상담 슈퍼비전 교육내용의 상대적 중요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교육적 함의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진학상담 슈퍼비전의 교육내용 중 진로상담 역량 요인과 학습·진학상담 역량이 상대적 중요도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전문가들이 실제 진로진학상담 장면에서 가장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고, 진로진학상담 슈퍼비전의 교육에서 진로상담 역량과 학습·진학상담 역량을 높이는 내용이 가장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했다. 또한, 진로진학상담 슈퍼비전 교육내용 10개 상위요인의 42개 하위 요인 중에서는 내담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 미래사회 및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및 적용 역량이 상대적 중요도가 높게 평가되었고, 상담 결과 및 자료관리 역량, 상담자 자기 개방, 학교급별 진로교육 목표 이해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약한 요인들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현실적인 제한점과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Content for Career & Guidance Counseling Supervision. To achieve thi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ntents is presented using pairwise comparison in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For this study, Built on the panel of 32 professionals, and AHP hierarchical structure consisted of 10 main determinants with 42 sub-components from educational contents on supervision for career & guidance counseling. The results of AHP analysis indicate that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are ‘career counseling competency’ and ‘learning · guidance counseling competency’. This means the professionals consider these two determinants as the most important contents on career & guidance counseling and above all, education to enhance these two competencies should be provided in the supervision. Among 42 sub-components, ‘understanding client’s characteristic’ and ‘the competency o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to future society and changing world of work’ were prioritized. On the other hand, ‘counseling outcomes and data management competency’, ‘counselor’s self-discloser’, and ‘understanding of career educational goals according to school levels’ were considered to be relatively less important. Finally current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