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방해하는 위험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의 보호요인으로서 갖는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중1 패널 6차년도(2015년)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검증주제인 위험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검증결과, 위험요인인 개인요인(심리․정서적 상태)과 가정요인(부모의 양육방식과 방임, 학대)은 학교생활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위험요인은 학교생활 적응을 떨어뜨리고, 보호요인인 또래관계의 조절효과 검증에서 또래관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험요인인 개인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부적인 효과가 또래요인 즉, 또래에 대한 의사소통과 신뢰가 증가할수록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또래관계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가정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는 또래에 대한 의사소통 및 신뢰의 수준에 의하여 달라지지 않았다. 셋째, 보호요인의 매개효과검증결과, 위험요인은 학교생활 적응을 떨어뜨리고, 개인요인이 학교적응에 갖는 직접효과는 p<.001로유의하였으나 가정요인이 학교적응에 갖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개인요인->또래요인->학교적응의 간접효과와 가정요인->또래요인->학교적응의 간접효과는 둘 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또래요인은 개인요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가정요인이 학교적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isks to hinder adolescents from adjusting to school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peer relationship in the relation between risk factors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panel data of the 7th grade teenagers in the 6th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collected in 2015 was used for this study. In terms of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n risks affecting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first, the personal factor and family belonging to risk factors had a negative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risk factor prevented adolescents from adjusting to school. The stronger the peer relationship was, the better teenagers adapted to school. Moreover, the personal factor as one of risk factors having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decreased as communication and trust between peers increas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er relationship was verified.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f family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by the level of communication and trust of peers. Third, as for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rotective factor, the risk factor curbe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direct effect of the personal factor on adolescents' school was significant (p<.001) but that of family was not. Statistically, individual and peer had an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family and peer statistically indirectly influence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at is, it was found that peer had a partly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ffecting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but peer played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family impacting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