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자아 이질적인 강박 사고가 자기 구조의 분리와 관련될 수 있다는 가정을 검증하고자 했다. 강박 사고는 자아 이질성에 따라 자생성 사고와 반응성 사고로 나눌 수 있으므로, 이 두 강박 사고 집단과 통제 집단의 자기 구조 지표를 비교하였다. 대학생 431명을 대상으로 Padua 강박 질문지(PI-WSUR)와 침투적 인지 질문지(ROII)를 실시하여 자생성 강박 사고 집단 27명, 반응성 강박 사고 집단 27명, 통제 집단 29명을 각각 선별했다. 자기 구조에 대한 자기 보고 척도로서 자기 양가감 척도(SAM)를 실시하였는데, 자생성 및 반응성 강박 사고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자기 양가성을 보였고, 두 강박 사고 집단 간의 차이는 없었다. 자기 구조를 측정하기 위해 자기 측면 검사를 실시했는데, 측면들 간의 조화도에서 자생성 및 반응성 강박 사고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더 낮되, 두 강박 사고 집단 간 차이는 없었다. 자기 측면 검사에서 구조적 분리를 반영하는 지표는 구획화(φ)와 차별적 중요성(Differential Importance: DI)인데, 자생성 및 반응성 강박 사고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차별적 중요성은 낮았으나, 구획화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강박 사고 집단은 부정적 측면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음이 확인되었지만, 높은 자기 양가감과 낮은 자기 측면 간 조화도가 시사하는 것과는 다르게 긍정 대 부정 측면의 분리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hypothesis that ego-dystonic obsession is associated with the splitting of self-structure. A survey using the Padua Inventory-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vision (PI-WSUR) and the Revised Obsessional Intrusions Inventory (ROII) was administered to 431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survey, 27 students were screened out as the autogenous obsession (AO) group, 27 as the reactive obsession group (RO), and 29 as the control group. Self-Ambivalence Measure (SAM) was used to measure self-reports of divided self-structure. The AO and RO groups showed higher ambivalence level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obsession groups. The Self-Aspect Test (SAT) was conducted to measure self-structure. The AO and RO groups showed lower degrees of harmony among self-aspects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obsession groups. Compartmentalization (φ) and Differential Importance (DI), couple indicators of SAT reflecting structural splitting were analyzed. The AO and RO groups had high compartmentalization with low DI (namely, negative compartmentalization). Conversely, the control group showed low compartmentalization with high DI (namely, positive integration). The study’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