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향유신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구, 광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0∼65세의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2일에서 3월 17일까지 대략 2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N=326). 측정도구는 향유신념 척도, 정서표현성 척도, 단축형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와 AMOS 18.0의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조사하였고, 측정모형의 검증을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높은 향유신념은 정서표현성을 높이고,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정서표현성이 높아지면 주관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표현성은 향유신념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지적 심리기제인 향유신념과 정서적 심리기제인 정서표현성이 중년기 성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고, 정서표현성이 향유신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voring beliefs and a subjective sense of well-being among middle-aged adult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given to middle-aged adults aged between 40-65 years in Seoul, Gyeonggi, Daegu, and Gwangju during a two week period in March, 2018 (N=326).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were the savoring belief scale,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and the shortened subjective well-being scal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ere examin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by verifying the measurement model. Results: Three major results were found: First, higher savoring belief enhance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mproves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higher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higher the subjective well-being. Third,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avoring belief and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aged adults, the savoring belief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hich includes a cognitive psychological mechanism, should be highly antece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