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디스토피아적 또는 아포칼립스적 상상을 담은 문학작품들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지만 한국문학의 전통에서 이런 종류의 소설들은 익숙하지 않다. 특히 SF소설의 경우는 문학계에서 청소년문학이나 장르문학 등의 하위 장르로 분류되면서 그다지 비평적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아포칼립스(apocalypsis)에 관한 상상이 근본적으로 유태교·크리스트교·이슬람교의 전통에서 중시되는 묵시문학(默示文學)과 관련된 것이라는 점 역시 한국문학 내에서 관련 작품들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부분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를 둘러싼 국내 정치, 경제, 사회 문제, 환경 그리고 분단 현실까지 어느 하나 지금-여기서 ‘더 나은 곳을 향한 유토피아’의 꿈을 가능케 하는 것이 없는 상황에서 디스토피아적 상상의 출현은 한국문학의 장 안에서 점점 그 빈도가 증가할 것이다. 또한 그간 실패한 유토피아적 상상이 가지는 한계에 대한 비판적 성격을 디스토피아 서사가 가지고 있다면 디스토피아소설은 ‘헬조선에서 파생된 좌절의 서사’로 읽히기보다는 디스토피아의 능동성에 기대어 생산적으로 독해되어야 한다. 본고는 이처럼 새롭게 등장하는 한국소설의 디스토피아적 서사를 디스토피아의 능동성에 기대어 개별 작품이 품고 있는 비판적 성격에 주목한 독해를 제안한다. 먼저 유토피아문학이 장르로써 확립되어 있는 영미권 이론가들의 디스토피아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2017년 7월에 발표된 정지돈의 첫 번째 장편(경장편)소설 ≪작은 겁쟁이 겁쟁이 새로운 파티≫를 유토피아에 대한 비판적 디스토피아소설로 읽으면서 그 안에서 디스토피아적 상상이 유토피아적 상상과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Even though the novels with dystopian or apocalyptic imagination are gaining popularity all over the world, Korean literature hasn’t been accustomed to that genre. That is because science fictions are classified as literature of youth or subgenre, not welcomed by the academic field as well as because the imagination of apocalypse is based on the tradition for Christianity. Not to mention science fictions, we don’t have many works containing ‘imagination for the future’ in the Korean literary history. Nevertheless, the frequency of dystopian narration will increase more and more in literature of Korea where we can’t dream utopia surrounded by dystopian reality. If the dystopian narrations can be critical to utopian dreaming that failed in the past century, dystopian novels should be read as more productive narrations than frustrating narrations caused by ‘Hell Cho-sun’. This paper suggests that we focus on the critical possibility of dystopian novels. First, I introduce some concepts for dystopia theoretically and then, based on the concepts mentioned, analyse the relations between utopian dream and dystopian imagination described in A Little coward coward New party by Jeong Ji 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