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송명시대의 이학자(理學者)들은 모두 성선설 지지자들이다. 당연히 이들은 맹자의 사단설(四端說)을 중요하게 여기며, 사단의 선심(善心)을 실행하면 선이 산출된다는 선(善)의 규준을 취한다. 그런데 한편으로 이학자들은 북송(北宋)시대부터 이미 『중용』의 중화(中和) 논제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중용』의 중화설에 따르면 희노애락 등의 정서가 발동하였을 때 중절(中節)하면 화(和)의 선이 산출된다. 이렇게 되면, 희노애락 등의 정서가 발동하여 중절하였을 때인 ‘중절의 선’과 사단의 선심을 실행한 ‘선심의 선’, 이렇게 두 종류의 선악 규준을 갖는 것이 된다. 하나의 철학체계 안에서 선(善)의 규준이 둘일 수는 없다. 이 두 선악 규준 간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의 작업은 북송이래 중국과 한국에서 이학이 전개되는 가운데 반드시 정립되어야 할 것의 하나가 되었다. 결과를 놓고 말하면, 육구연(陸九淵)과 왕수인(王守仁)의 이학(理學)에서는 ‘선심의 선’이 ‘중절의 선’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정립(定立)되어 갔다. 반면에 새로운 유학(Neo-Confucianism)인 성리학에서는 이 난제에 대해 닦아놓은 기왕의 길이 없어 새롭게 노선을 열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실질 내용 면에서 보면, 이 난관은 성리학이 ‘심(心)-성(性)-정(情) 삼분(三分)’의 원칙에 의거해 사단(四端)의 선심을 칠정(七情)과 함께 다같이 ‘정(情)’으로 규정한 데서 비롯된다. 16세기의 사단칠정 논변을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퇴계와 율곡에 의해 각기 하나의 노선이 열렸고, 이 두 성리학 노선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글은 윤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사단의 정’과 ‘칠정의 정’ 간의 관계 설정 문제에 직면한 성리학이 16세기 사단칠정 논변의 결과 호발설(互發說)과 일도설(一途說)의 두 노선으로 길을 닦아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거시적으로 조명한 것이다. 주요 논제는, 송명이학이 직면했던 두 개의 선악 규준에 대해 성리학은 호상학-양명학의 노선과는 근본적으로 길을 달리 하였다는 점과 성리학 안에서는 퇴계와 율곡에 이르러 두 노선으로 분기(分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학의 이러한 발전 과정에서 핵심 논점들은 무엇무엇이었는지를 짚어보고, 향후 연구자들이 수행해 내어야 할 과제들에는 무엇무엇이 있는지를 정리해 간다.


All the Rational Philosophers of the Song-Ming Dynasty supported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good. Naturally, they made much importance of the “Four Beginnings of Moral Sentiments” Mencius proposed, and regarded what the “Four Beginnings of Moral Sentiments” as the criterion of the good. On the other hand, the Rational Philosophers began to discuss ‘equilibrium and harmony of feelings’ in the Doctrine of the Mean from the Northern Song Dynasty. According to the theory of equilibrium and harmony in the Doctrine of the Mean, when the feelings of pleasure, anger, sorrow and joy have been stirred and they act in their due degree, the good of harmony ensues. This resulted in two kinds of criterion for the good: ‘the good of the original mind’ that performs the “Four Beginnings of Moral Sentiments” and ‘the good of acting in a due degree’ when the feelings of pleasure, anger, sorrow and joy have been stirred and they act respectively in their due degree. There cannot be two criteria of the good in a philosophical system. How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criteria of the good became one of the notions that had to be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Rational Philosophy in China and Korea since the Northern Song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ult, in the Rational Philosophy of Lu Hsiang-shan and Wang Yang-ming, ‘the good of the original mind’ was established to have precedence over ‘the good of acting in a due degree’. On the other hand, Neo-Confucianism faced a situation in which a new line should be developed because of the absence of existing ways to understand and solve this difficult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stantive content, this difficulty stems from the fact that Neo-Confucianism defined both goodness in the “Four Beginnings of Moral Sentiments” and the “Seven Feelings” as ‘feelings’ according to the doctrine of a trisection into mind-nature-feeling. Through the “Four-Seven Debate” in the 16th century, Yi T’oe-gye and Yi Yul-gok finally established one line, respectively, and these two lines of Neo-Confucianism have been maintained to date. From the viewpoint of ethical thoughts, Neo-Confucianism, which was faced with the problem of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lings in the “Four Beginnings of Moral Sentiments” and the feelings in the “Seven Feelings”, it developed two lines of thought through the “Four-Seven Debate” in the 16th century: the theory of “Mutual Issuance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and the theory of the “Single Path of the Issuance of Material Force”, and these two doctrines have been maintained to date. This is macroscopically examined in this study. This study examines what major issues we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Rational Philosophy, and summarizes tasks that researchers should undertak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