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시행하고 있는 화법 수행 평가 계획의 동향 파악을 위하여, ‘학교알리미’에 공개된 30개교의 5개 학기 국어과 평가 계획서 150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현장의 화법 평가 계획에는 교사에 의한 분석적 평가 방법이 사용되며, 평가 과제로 담화유형 중 ‘발표’를 많이 평가할 예정으로 나타났다. 또 담화 유형별 의사소통에 대한 교수-학습 과제가 많이 나타났다. 또 교수-학습 목표에 따라 영역 통합 과제 평가도 행해졌으나 교과 간 통합 과제는 없었다. 최근의 국어과 화법 평가에 나타난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국어과 수행 평가 계획서에 화법 평가를 전혀 반영하지 않는 학교가 많으므로 화법 수행 평가가 매 학기 한 번은 시행되도록 해야 한다. 2) 국어과 전체 평가 중 화법 수행 평가의 비율이 너무 낮으므로 학기별 국어과 수행 평가 역시 영역 간에 균형 있게 시행되어야 한다. 3) 화법 평가 과제를 불명확하게 제시한 경우가 많으므로 평가 내용에 따른 과제를 분명히 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 영역 통합 과제가 많지 않으므로 영역 통합 과제를 구성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5) 화법 평가에 대한 기준이 타당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타당한 평가 요소와 명확한 평가 척도가 포함된 평가 기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150 Korean language assessment plans for 5 semesters of thirty schools posted on the web sites called Hakgyo-alrimi,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speech communication assessment plans implemented at the school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ssessment at schools were conducted by teachers in an analytical way. Among the discourse patterns, the assessment is mainly focused on oral presentation, followed by task assessment for achievement standard of the listening-speaking domain. Additionally, a domain-integrative task assessment was also conducted depending on the teaching-learning objectives, however there was no subject-integrative assesment. The problems with the recent Korean speech communication assessment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is presented as follows. First, many schools have no assessment plan for the performance of Korean speech communication. Speech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conducted at least once a semester. Second, the weight of the speech performance assessment is too low among the total Korean assessment. Korean assessment should be balanced among the various domains. Third, speech communication assessment tasks are provided unclearly. At the beginning of a new semester, from the stage of assessment planning, tasks should be provided clearly according to the assessment plan. Fourth, there are not many domain-integrative tasks. Research is needed on the relative weight of solitary and integrative assessment, in terms of speech communication assessment. Fifth, the criteria for speech communication assessment is not valid in many cases. Detailed instructions for Korean performance assessment and education for changing the teachers’ thinking about the speech communication assesment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