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들이 남한사회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경험이 어떠한지 총체적이고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북한이탈여성에게 자녀양육 경험은 어떠한 것들이며 그것이 그들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지 심리학적 접근으로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북한이탈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의 본질적인 의미를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설계는 Heidegger(1962)의 실존론적 인간론을 철학적 기반으로 하여 Van Manen(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이다. 북한이탈여성 11명을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결과, 총 5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 3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희망을 향해 자녀와 몸부림’이었고, 두 번째 주제는 ‘다른 교육문화의 부담감’, 세 번째 주제는 ‘역경에 맞서 나가는 삶’, 네 번째 주제는 ‘선택과 도전’이었으며, 마지막 다섯 번째 주제는 ‘든든한 울타리 역할’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북한이탈여성이 남한사회에서 건강한 부모로서 가족의 안녕과 적응을 증진시키며 자녀양육의 어려움을 도울 수 있는 중재개발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arch for what childcare is from the point of view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and what this means by generally and deeply understanding how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experience childcare in South Korea, and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through a phenomenological method with a psychological approach. This study is based on the existential understanding on human beings of Martin Heidegger who also used the hermeneutics phenomenological method of van Manen. The data for this study a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eleven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and a total of five topics, twelve sub-topics, and thirty-eight meaning units. The five topics are ‘Struggle with children toward hope’, ‘Burden of other educational cultures’, ‘Living out against adversity’, ‘Choice and challenge’, and ‘A solid fence role.’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are expected to promote the peace and adaption for their family as the desirable parent and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strategy that alleviates the difficulties of rearing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