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보성 대원사 극락전은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87호로 지정되어 있다. 극락전 내부의 좌우 토벽체에는 각각 백의관음도와 달마도 벽화가 무기안료로 그려져 있다. 이 극락전 벽화는 1982년에 토벽의 강화 및 메움, 안료 박락방지에 해당하는 보존처리가 실시되었으며, 이때 처리제로 아크릴 에멀젼(acrylic emulsion)과 이소시아네트(isocyanate PNSY6)의 아크릴계 접착제가 사용되었다. 이 두 점의 벽화는 2015년 보물 제1861호로 지정되었다. 보존처리 후 3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관찰한 결과 이 벽화도 여타의 아크릴 접착제로 보존처리된 벽화문화재처럼 문제점 등이 파악되고 있다. 주지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 벽화문화재의 경우 전통아교를 사용하여 보존처리를 실시해야한다는 논의가 계속 진행되어왔고, 전통아교를 사용한 우수한 보존처리 사례도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많은 사찰 벽화와 단청 등의 보존처리에 전통아교를 적용하기에는 여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양산 통도사 영산전 다보탑벽화(보물 제1711호)의 보존수복처리(2008.11.-2009.9.)로 기술이 검증된 일본 금강사문화재연구소 야마우치 아키라(山内 章)의 자문과 협력을 얻어 전통아교를 활용한 보존처리를 실행하고자 하였다. 이에 벽화의 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상태조사를 실시한 후 보존처리를 실시할 범위와 방법을 선정한 후 최소한의 작업으로 현 상태보다 호전시키고 이를 유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부분적인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대원사 극락전 내부에 있는 벽화문화재의 보존․수복처리에 사용하는 접착제로 아교를 적용하여 벽화보존처리의 방법론을 체계화하고자 하였으며, 이 방법을 통해 후속 연구에 활용하고자 한다.


Boseong Daewonsa Geukrakjeon Mural (보성 대원사 극락전 벽화) is a local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number 87. Inside Geukrakjeon, the left and right are painted with White-robed Kuan-yin and Dalmado murals using inorganic pigments. The preservation of the Geukrakjeon murals using wall strengthening and plugging and preventing the exfoliation of the pigment was conducted in 1982. Adhesive treatment with acrylic emulsion and isocyanate PNSY6 were used. Over the last 30 years, using acrylic adhesive for preserving the paintings was identified as problematic from observations of the preservation of the cultural properties of other murals. In Korean culture, there has been a discussion on the preservation of heritage murals using traditional glue as it has excellent conservation properti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capacity in the ability to apply the glue using the traditional process of using dry matter over the wall paintings and temples. Therefore, Yangsan Tongdosa (양산 통도사) ‘Youngsanjeon Dabotap (영산전 다보탑)’ requested advice and cooperation to complete this process. The restoration process received a research grant of implemented the conservation work on the mural using traditional glue from ‘The Institute of Japanese Standard (일본 안전청) with the help of Akira Yamauchi who made the glu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mural, to ensure that the process involved an improvement beyond the current condition, and to ensure that the paintings were treated to a level that can sustain them, a condition surve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cope and methods of the preservation treatment. This study is based on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glue in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treatment of cultural properties of the Daewonsa Geukrakjeon mural. To systematize the methodology of the preserved murals, they will be observed in furthe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