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학생이 지각한 우울 성향이 학급또래연결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초등학생의 우울 성향은 자기보고식 설문을 활용하여 측정한 개인 속성 변수를 활용하였고, 학급또래연결망은 Ucine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급의 모든 인원들이 참여하여 응답한 완전연결망으로부터 산출된 3가지 중앙성 지표(사이 중앙성, 연결 중앙성, 인접 중앙성)를 표준화점수로 변환시킨 관계 변수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변수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우울 성향 및 하위요소가 중앙성 지표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 회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우울 성향의 수준에 따른 집단 간 중앙성 지표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ANOVA를 실시하고 관련 시각화 자료를 제시하였다. P광역시에 위치한 11개 초등학교(13개 학급)에 재학 중인 4∼6학년 35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첫째, 우울 성향 및 하위 요소는 모두 3가지 중앙성 지표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우울 성향이 높은 초등학생일수록 중앙성 지표들은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우울 성향의 하위요소 중 흥미상실과 행동장애만이 중앙성 지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대적으로 우울 성향이 높은 '상' 집단이 '중, 하' 집단에 비해 학급또래연결망의 중앙성 지표가 낮게 나타났으며, 중ㆍ 하 집단의 경우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epressive tenden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ir peer relationship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To do this, we examined between depressive tendency and centrality indicators within social network and analyzed where students who have a depressive tendency were positioned in the social network. The depressive tend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measured by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Using the Ucinet program the Social network computed, The three centrality indicators-betweeness centrality, in-degree, closeness centrality-derived from the complete network of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were measured using a relational variable that was converted to a standardized score. We performe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depressive tendency and subfactors on centrality indicators, and visualiz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depressive tendency. The study of 350 students from 13 classrooms of 11 elementary schools in the P city showed that First, the depressive tendency and the subfacto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hree centrality indicators. Second, the higher the depressive tendency, the lower the centrality indicators. Thir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only the loss of interest and behavioral disability were significant factors in the centrality indicators. Finally, the high group with a depressive tendency had a lower centrality indicators of social networks compared to the middle and lower level of group.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