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ranscranial doppler is a non-invasive method that measures the blood flow velocity and the direction of cerebral blood vessels through the doppler principle. The pulsatility index is an index for measuring the transcranial doppler that reflects the distal vascular resistance and is used as an index for the presence and diffusion of cerebral small vessel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basilar artery pulsatility index in ischemic stroke patients. From January 2014 to May 2015, 422 patients were selected by measuring the transcranial doppler pulsatility index, considering their basilar artery pulsatility index. Uni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basilar artery pulsatility index as a dependent variab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conside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ulsatility index as variables.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age, presence of hypertension, presence of diabetes mellitus, presence of hyperlipidemia, and hematocrit (P<0.1) as fac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ith age (P<0.001), presence of diabetes (P=0.004), and presence of hyperlipidemia (P=0.041).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basilar artery pulsatility index of transcranial doppler were age, diabetes, and hyperlipidemia.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increase the cerebral pulsatility index as a surrogate marker of the elderly, diabetes, and hyperlipidemia.


뇌혈류 초음파 검사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대뇌 혈관 혈류속도와 방향을 도플러 원리로 측정하는 검사이다. 뇌혈류 초음파 검사의 박동지수는 원위부 혈관 저항을 반영하는 측정 지표이며 대뇌 소혈관 질환 발생과 확산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본연구의 목적은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기저 동맥의 박동지수에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를 평가하는데 있다. 2014년 1월부터2015년 5월까지 내원 환자를 대상으로 뇌혈류 초음파 검사 박동지수를 측정하여 기저동맥 박동지수 대상자 422명을 선정하였다. 기저동맥 박동지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단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박동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변수에 특징을 고려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단변량 분석 결과 박동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연령, 고혈압 유무, 당뇨 유무, 고지혈증 유무, 적혈구용적으로 나타났다(P<0.1) 다중회귀분석을실시한 결과 연령(P<0.001), 당뇨 유무(P=0.004), 고지혈증 유무(P=0.04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뇌혈류 초음파 검사의 박동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는 고령, 당뇨, 고지혈증이다. 이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두 개 내 박동지수 증가는 고령, 당뇨, 고지혈증을 반영하는 지표로 활용 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