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종교적 동기에 의한 결혼을 한 일본인 결혼이주여성과 자유연애 결혼을 한 일본인 결혼이주여성이 가족생활에서 겪는 갈등의 차이를 현상학적 접근방법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본 결혼이주여성들을 결혼 동기별로 나누어 이들이 겪는 한국의 가족생활 갈등을 비교함으로써 그들이 겪은 경험의 ‘의미’ 속에 내재된 ‘본질’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 연구 문제를 위해 수도권 지역에서 가족갈등을 빚고 있는 종교적 동기에 의한 결혼을 한 참여자 5명과, 자유연애 결혼을 한 참여자 5명을 의도적 표집방법과 눈덩이 표집방법으로 선정하여 만 6개월간 비구조화된 방식, 반개방형 방식으로 23회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Colaizzi의 분석방법으로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은 첫째, 결혼 초기에 시댁에서의 자리매김을 하는 과정의 차이가 있었고 둘째, 원가족 지지기반의 차이가 한국에서의 정착의지, 산후조리, 가족행사 참여 마음가짐 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결혼할 때부터 차이가 난 한국에 대한 관심과 경제력은 한국어 구사 능력과 한국 음식 적응 나아가 시댁의 경제적 지출에 대한 갈등의 차이를 보였다. 넷째, 종교생활 여부는 가부장적 문화 수용과 일본인 자부심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onflicts between Japanese married immigrant women who married by religious motives and Japanese married immigrant women who married after free dating wit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For this study, five participants who married by religious motive and five who married after free dating were selected by intentionally sampling method and snowball sampling method in a metropolitan area. We conducted 23 in-depth interviews in an unstructured and semi-open manner for six months an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Colaizzi’s method. First, there is the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positioning in the family in the early marriage. Second, the difference in family-of-origin support bases influences the willingness to settle in Korea, postpartum care, and attitude to participate in family events. Third, the interests of Korea and economic abiliti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time of marriage, showed the difference of conflict between Korean ability and Korean food adaptation and economic expenditure of in - laws. Fourth, religious life was influential in patriarchal culture acceptance and Japanese self–e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