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죽천 이덕형(李德泂, 1566, 명종 21∼1645, 인조 23)은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중반에 이르는 조선의 격변기에 활약하던 인물이다. 그의 후손들은 그의 삶을 ‘5번의 재난’과 ‘2번의 병란’으로 요약한다. 임진왜란-선조(宣祖)의 국상(國喪)-광해군의 혼정(昏政)-인조의 계해반정(癸亥反正)-이괄(李适)의 난-인조의 면복과 고명을 주청(奏請)한 해로 사행[水路朝天]-병자호란(丙子胡亂)을 말한다. 이덕형은 학문으로는 남인(南人)의 학통에 닿아 있고, 정치노선으로서는 광해군의 도승지로 인조반정을 맞이함으로써 서인에서 노론으로 이어지는 주류 질서에서 소외되었다. 후손들이 편찬한 『죽천행록』은 잊혀졌던 그의 삶을 복원하였다. 특히 『죽천행록』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한 1624년부터 1625년까지의 해로 주청사행은 명청교체기의 혼란한 국제 정치 상황, 거대 제국 명나라의 말기적 모습, 명나라로부터 책봉을 받은 광해군을 폐위시킨 혁명 세력이 다시 책봉을 받아야만 하는 제후국 조선의 곤란한 처지, 이 과정에서 노출된 책봉과 조공이라는 중세적 국제 질서 체제의 민낯, 이상과 현실 속에서 갈등하고 생존하기 위해 투쟁하는 조선의 유가 지식인, 위험천만한 항해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스펙타클한 모험과 기연(奇緣) 등을 문학사에 제공하였다. 지금까지는 『죽천행록』 중 ‘곤편’만 소개되었기에 북경 입성 이후의 내용만 알 수 있었다. 물론 한글본 사행록을 한역한 『조천록(朝天錄)』이 있었기에 해로 사행의 대략적인 행적은 파악했지만, 이번에 소개한 ‘건편’으로 한글본 사행록을 온전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인조반정의 구체적인 국면과 이덕형이 그 과정에서 생존하는 과정이 구체적으로 나와 있기 때문에 1624년의 주청사행이 갖는 의의와 맥락을 보다 섬세하게 짚어낼 수 있게 되었다. ‘건편’의 이본은 나손본과 국립해양박물관본이다. 나손본은 오탈자가 많고 정서(淨書)로 씌여지지 않은 단점이 있지만, 건편과 곤편이 모두 갖춰진 완본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국립해양박물관본은 이현조 소장본만큼 단정한 필치로 씌여졌지만, 제책 과정에서 쪽수가 틀어졌고 낙장도 보인다.


Juk-cheon Lee Duk-hyeong(1566∼1645) lived in the upheaval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mid 17th century. So-called 'five disasters' and 'two diseases'. It is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funeral of Seonjo(宣祖), Wrong politics of Gwanghaegun[光海混政], King Injo's Restoration(仁祖癸亥反正), The Rebellion of Yi Gwal(李适亂), It is officially recognized as a succession to the throne by the emperor of Ming Dynasty through sea voyage(水路朝天奏請使行),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丙子胡亂). Lee Duk-hyeong is a scholar of the Namin. As the king's chief secretary, he was alienated from the mainstream order from the Seoin to the Noron. Juckcheon-haengrok bstored his forgotten life. In particular, the ruling party from 1624 to 1625, which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of Juckcheon-haengrok, had a confused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ending of the Ming empire, and the revolutionary forces that abolished the Gwanghae army, It is not only the difficult situation of the Joseon dynasty that must be received, the people of the medieval international order system that is exposed in this process, the proud intellectuals of Joseon who struggle to survive and conflict in ideal and reality, And offered them to an adventure and literature. Until now, only the second volume of Juckcheon-haengrok was introduced. Therefore, only the work after Juk-cheon entered Beijing was known. Of course, because there was a book that translated the diary written in Hangul into Chinese text, it was able to grasp the act that went to Beijing through the sea. By introducing the first volume this time, we can fully appreciate the diary written in Hangeu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laborate the significance and context of the diplomacy of 1624 because the concrete phase in which artificialism was raised and the process of the survival of the artist in the midst of it. The first volume is in Dankook University and the National Oceanographic Museum. Books in Dankook University have many misleading characters and are not well defined. But it has both the first volume and the second volume. The book at the National Maritime Museum consists of a neat font of the same level as the existing book. However, in the course of making a book, pages are out of order, and some pages are mi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