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군 교과서 도전 영역에 제시된 씨름 활동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 9월에서 10월까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와 8종의 초등학교 체육 검정교과서를 수집하였고, 비교분석 방법론(Bereday, 1964)을 통해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명제적 지식 측면에서 씨름에 대한 지식이나 사실이 적합하고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했다. 운동기능 측면에서는 씨름형 놀이와 씨름에 필요한 기본 기능 및 기술을 제시했으나 체계성이 부족했고,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점도 미흡했다. 학습내용 측면에서 삽화와 사진은 동작의 정확성과 비례가 맞지 않아 본문 내용과의 연계성이 부족했다. 학습내용은 심동적 영역 중심으로 편중되었고, 목표와 내용이 불일치했으며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에도 한계가 있었다. 교과역량 측면에서 역량관련 내용이 단원의 도입 부분에만 제시되었고, 역량 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과 방법들이 일정한 기준 없이 제시되어 아쉬움이 있었다. 인성-덕 측면에서는 대체적으로 덕의 가치들을 스스로 평가하는 수준이거나 형식적인 제시가 많아 덕의 가치를 이해하고 실천하며 내면화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wrestling game during the challeng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e elementary school black textbook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o carry out these studies, we collected data such as curriculum document data and 8 kind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black textbooks, and analyzed content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methodology of Bereday (1964). In terms of propositional content, Eight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have not been able to provide concrete and clear structure of knowledge, facts, and basic knowledge of wrestling. In terms of motor function, Eight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presented basic functions and skills necessary for wrestling and wrestling, but lacked specificity and lacked the ability to utilize functions. In terms of learning content,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lack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s of the text because the accuracy and proportion of the movements were not in line with the contents of the text, and the learning goals and contents were limited to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due to the discrepancy between the goals and contents centered on the deep realm. In terms of competency, competency-related content was presented only in the introduction of the unit, and specific efforts and methods for capacity building were presented without certain criteria. In terms of personality-virtue, there were many levels or formal suggestions that evaluated the values ​​of virtue, and it was judged that there was a limit to understanding, practicing and internalizing the value of virt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