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국내 비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함께 나타나기 쉬운 신체, 심리 증상인 우울-통증-피로 증상 클러스터의 존재를 확인하고 이를 설명하는 관계변인으로 가족관계의 질 그리고 개인변인으로 외로움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성인기 초기 257명의 비임상 일반인 집단을 대상으로 부모자녀관계 질, 형제관계 질, 외로움, 우울, 통증, 피로증상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비임상 일반인 집단에서도 증상 클러스터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 분석과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해 부모자녀관계 및 형제관계와 증상 클러스터와의 부적관계에서 외로움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비임상 일반인 집단에서도 우울, 통증, 피로 증상 클러스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로움이 부모자녀관계 질과 증상 클러스터의 부적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형제관계 질과 증상 클러스터와의 부적 관계를 완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적, 신체적 임상 질환을 나타내지 않는 개인도 하나의 심리, 신체 증상을 경험할 때 다른 공존 증상을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는 증상 클러스터를 경험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증상 클러스터에 대한 통합적인 개입을 제안하고, 이를 설명하는 관계변인으로 부모자녀관계 질 형제관계 질을 확인하고, 개인변인인 외로움의 심리적 역할에 대해 밝힌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scertain the depression-pain-fatigue symptom cluster in a nonclinical sample in Korea and investigates how family relationships and loneliness might explain the symptom cluster. We recruited 257 young adults, and surveyed the quality of parental and sibling relationships, loneliness and depression, pain and fatigue symptoms. In order to ascertain the symptom cluster among the nonclinical sample, we performed correlational tests and principle component analyses. We also tested loneliness as a mediator between parental and sibling relationships and the symptom cluster. The results confirmed the existence of the symptom cluster in this sample. Furthermore, loneliness fu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parental relationship and the symptom cluster, and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sibling relationship and the symptom clus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nclinical samples also experience the symptom cluster and require more comprehensive intervention to treat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Implications for considering both parental and sibling relationships and loneliness to explain symptom clusters were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