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최인훈 소설 『구운몽』의 원형적 기호 형식이자 미학적 표현방식인 알레고리가 텍스트 구조 속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분석하여, 작가의 예술 철학적 사유와 소설형식의 사회적 콘텍스트를 해석해 내기위해 구상되었다. 최인훈 소설에서의 알레고리는 가치 붕괴 시대의 사회적 모순에 대한 미학적 모더니티의 미메시스적 반응으로 해석된다. 논문은 알레고리적 형식과 서사구조를 통해 가치 붕괴된 사회의 본질과 시대의 정신구조를 탐구하고 이를 통해 죽은 역사를 구원하고자 하는 최인훈소설 미학의 본질적 기능과 의미를 살피는 데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소설 『구운몽』의 텍스트 생산 원리 및 방법을, 알레고리가 적용된 기능 및영역에 따라 세 가지 층위(양식 층위의 알레고리, 심리 층위의 알레고리, 서사 층위의 알레고리)로 나누고, 이들 범주들 사이에 나타나는 구조적상동성을 바탕으로 사회적 의미를 해석해 내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논문이 로맨스의 패러디 양식을 통해서 전개된 알레고리적 서사 기호의 기능과 의미를 읽어냄으로써 『구운몽』의 텍스트 생산 원형과 소설사회학적 가치를 구명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is aimed at interpreting Choi In-Hoon’s art-philosophical idea and the social context in his novel style by analyzing how the allegory ― which is the prototypical symbol form and the aesthetic expression mode of his novel Gu-un-mong (A Dream of Nine Clouds) ― is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text. The allegory in Choi’s novel is interpreted as the mimetic reaction of aesthetic modernity about the social contradiction in an era when value collapses. This thesis focuses first on searching the nature of value-broken society and the mental structure of the period through the allegorical formality and narrative structure, and next on scanning the essential function and meaning of Choi’s fiction aesthetics trying to rescue the dead history. For this, this thesis uses the research methodology that divides the principle of the text production of the novel Gu-un-mong (A Dream of Nine Clouds) into three categories ― the allegory of the pattern field, the allegory of the psychology field and the allegory of the narration field ― and then interprets the social meaning on the basis of the structural homology among the categories. It is expected that this thesis identifies the original form of the text production and the value of the sociology of novel by reading out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allegorical narration-mode developed by parody-style of the ro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