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한국의 대학(원)에 진학하는 외국인 유학생 수의 증가와 함께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동안의 연구가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최근에는 대학(원)에서의 학업 수행에 필요한 학문적 배경지식의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학부 유학생의 한국어 쓰기에 나타난 내용 지식 구성 양상을 고찰하여 유학생들이 한국 대학(원) 재학 중 요구되는 쓰기 과제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내용 지식을 구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내용 지식 습득 과정에서는 최근 컴퓨터와 인터넷이 주로 사용되는 학습 환경을 감안하여 학습자들이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하는 방식으로 쓰기의 내용 지식을 구성하는 양상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연구와 이론을 검토하고, 학부 1학년 대상 교양 글쓰기 과목의 한국인 학생 분반과 외국인 유학생 분반에 동일한 주제의 쓰기 과제를 부여한 후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외국인 유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실시하고 2차 과제를 부여하여 1차 과제와의 차이점 및 개선된 점을 알아보고, 한국어 쓰기교육에서 내용 지식구성을 위한 교육 방안에 관한 제언을 덧붙였다.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분야의 쓰기 교육과정에서 내용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 학습자 자료를 대상으로 쓰기 내용 지식 구성 양상을 고찰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를 기점으로 유학생의 쓰기능력 향상을 위한 내용 지식과 관련된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content knowledge composition in the writing of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This study tries to confirm the definition of the content knowledge for writing, analyze the writing-texts of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and compare it with those of the Korean students. The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n academic purpose is increasing with a significant rise in the number of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The focus of the studies on writ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n academic purpose is now changing from exercising writing skills to accumulating the background knowledge for writing. This study shows that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at Korean universities have several problems in terms of searching, collecting, and selecting the information for writing on the Internet by utilizing search engines and suggests some solutions for i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nticipated future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n academic purpose for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nother expectation is that this study would be followed by many more notable studies on content knowledge composition in writing for the education of writing in Korean for an academic purp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