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질적으로 행복은 개인에게 속하지만, 사회적인 환경의 영향을 받는 다층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렇기에 정치, 경제, 사회, 심리 등 행복을 다루는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개인의 특성, 개인을 둘러싼 환경 등 내적·외적인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 중 논쟁의 중심이 요인은 소득으로 욕구이론에 기반하여 ‘꾸준한 소득의 향상이 행복을 증가시킨다’는 주장과 만족점(set point) 이론에 의거한 ‘행복의 역설’ 등 상반된 논쟁들이 존재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근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핵심 논지는 행복이라는 가치에 소득과의 상관성에 대한 논쟁이 활성화 될수록 경합성과 배재성의 논리가 배태(胚胎)된 ‘행복의 상품화’가 학문적 발전과는 무관하게 점점 더 깊이 진행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개인이 행복을 추구하는 것과 개인이 행복을 추구할 기회를 증진시키는 행위 등이 다른 가치들과 충돌할 위험성을 최대한 약화시킬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행복의 상품화(시장화)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행복의 탈상품화’를 정책적으로 꾀하여야 한다. 개인을 둘러싼 행복 달성 기제인 가족(호혜성)과 국가(권위), 시장(경쟁)의 세 가지 매커니즘이 상호 공정한 긴장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개별화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에서 ‘공동체의 최대 행복’이라는 행복의 공공성 강화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In essence, happiness belongs to an individual but it has a multi-tiered nature, influenced by the social environment to which he or she belongs. It is in this regard that the academic disciplines dealing with happiness common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t the heart of the debates on happiness in modern era lies the relative income hypothesis (Duesenberry, 1948; Easterlin, 1974) that emphasizes happiness is best understood in relative terms. Whilst the Easterin camp maintains that income increase does not, of very little if any, raise happiness, above a satiation point, the need theorists such as Veenhoven(1991, 1996) argues that income increase, however little it may be, does make people happier. There is a concern, however, that 'commercialization of happiness' will progress more and more deeply in the capitalistic market system, regardless of the academic debates on the income-happiness nexus. Therefore, the authors share the perception that we need ‘de-commodification’ of happiness measures to prevent further commercialization (or marketization) of happiness. The authors duly conclude that a paradigm shift is needed to enhance public happiness; from the Benthamite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of people’ to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