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소옹과 주희의 『주역周易』 수리설과 정약용의 『역학서언易學緖言』에 포함된 평론으로서 「주자본의발미朱子本義發微」와 「소자선천론邵子先天論」에 나타난 다산의 수리설을 비교하고, 이들 사이의 상관적 특성과 차이를 재조명하였다. 본고에서는 정약용이 소옹의 선천 수리역학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비판하는 반면, 주희의 수리역학에 대해서는 한편으로 수용하면서 이론적 한계를 비판한 내용을 점검하였다. 소옹의 수리설을 중심으로 하는 선천역학 사상이 괘효상을 수리數理의 연산과 결합하여 자연과 사회역사를 설명하는 체계를 지니고 있다. 소옹의 학설에서는 태극太極을 말하기는 하지만, 주희가 말한 도덕적 근원으로서의 리와 동일한 의미는 아니다. 이에 비하여 주희는 『주역』을 상수역학과 변역變易의 관점에서 보았으나, 궁극적 목표에서는 의리역학적 특색을 가지는 만큼, 부분적으로 상수역학 이론을 제시하면서도 기와 상수에 대한 리의 우선성을 견지하였다. 반면에 정약용은 경험주의적 현상론의 관점에서 드러난 괘와 그 배후에 숨어 있는 괘의 역동적 변화양상에 대한 여러 이론적 설명체계를 통하여 귀납적으로 길흉회인의 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현상론적 관점에 치우침으로써 때로 14벽괘에 대한 설명과 가일배법에 대한 설명에서는 정합적이지 않은 이론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요컨대, 정약용은 소옹의 수학은 주로 비판하였으나, 주희의 변역 이론은 옹호하면서도 역리사법易理四法을 중심으로 하는 경험론적 수리역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정약용의 역학을 구성하는 중심개념을 요약한다면 자연의 여러 변화의 수리적 질서와 변화를 뜻하는 ‘추推’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essay tried to reilluminate about Jeong Yak-yong’s critical examination of Zhu Xi, and Shao Yong’s mathmatical principle of the Zhouyi seen in Zhuzi Benyi Fawei and Treatise on Shaozi’s Earlier Heaven of Yixue Xuyuan. This paper examined the contents through which while criticized actively mathmatical principle of the Zhouyi of Shaozi’s Earlier Heaven, Jeong Yak-yong accepted Zhu Xi’s mathmatical principle of the Zhouyi or criticized a theoretical limitation. Shao Yong’s Earlier Heaven mathmatical principle of the Zhouyi has the system by which one explains nature and social history through simbol of hexagram and lines combined with numerical calculation. His theory said the Great Ultimate but it is not the same meaning with principle as the moral origin in Zhu Xi. On the other hand Zhu Xi understands the Zhouyi in view of symbol and modification, his theory has characteristic of moral principle of the Zhouyi in a final goal. Accordingly he suggested partly symbol and numerology of the Zhouyi, at the same time adhered to the priority of principle over material forces & symbol and number. Compared to this, Jeong Yak-yong emphasized aspects of dynamical change of the hexagram(卦) connoted between exposed hexagram and lurking on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ist approach. And he intended to establish inductively criterion of good or ill fortune, regret and stinginess through these several explanation. However, he sometimes suggested a farfetched argument in the descriptions of the fourteen byeokkwae(十四辟卦) and duplication method of one adding(加一倍法) by being partial in phenomenalistical point of view. Summing up, Jeong Yak-yong criticized generally Shao Yong’s mathmatical principle of the Zhouyi, but advocated modification theory of Zhu Xi. Moreover he empiricism mathematical principle of Yixue orientated towards the four law involved in principle of the Zhouyi(易理四法). If one should summarize core concept of Jeong Yak-yong’s Yixue, he could seek from ‘inference(推)’ which means several numeral order and changes of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