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역학 이론 중 ‘상象’에 관한 이론을 청화간淸華簡 『서법筮法』과 비교 고찰하여 그의 역학 연구 방법론이 지니는 독창성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청화간 『서법』은 서점筮占체계의 전국시대 점술문헌이다. 『서법』에는 『주역』처럼 괘가 있고, 괘명卦名이 있는데 각각의 괘, 효는 ‘상’을 가지고 있다. 그 점사占辭 또한 ‘상’을 가지고 길흉을 판단하는 경우가 많아 『서법』이 ‘상’을 매우 중시하는 문헌임을 알 수 있다. 이로 보면 『주역』을 포함한 전국시대의 서점문헌들은 ‘상’을 중시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춘추시대 서점 기록을 풍부하게 담고 있는 『좌전』의 점례占例를 보면 『주역』을 해석할 때 ‘상’을 가지고 풀이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고대 『주역』은 ‘상’을 중심으로 이해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다산 정약용은 ‘상’이 『주역』 해석의 관건임을 논술하고 『주역』 이해의 기본은 「설괘전」의 물상을 이용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는 「설괘전」에 없는 물상을 『좌전』 등을 이용하여 보충하고 있다. 만약 청화간 『서법』의 물상을 알았다면 이를 가지고 『주역』의 물상을 보충했을 것이다. 또한 정약용 효변설의 착안 역시 청화간 『서법』과 비교하여 볼 때 고대 『역』과 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정약용은 「설괘전」을 두 부분으로 나눠 제1장~제3장은 공자가 지었지만 그 뒷부분은 공자보다 더 오래전 성인이 지었다고 본다. 「설괘전」 제1장~제3장은 마왕퇴백서 『역전』 「충衷」을 통해 「계사전」의 한 부분이었음이 밝혀져 있기 때문에, 정약용의 「설괘전」 분석은 공자 저술 부분만 제외하면 매우 정확하다고 하겠다. 아직 근대적 학문 이론이 도입되기 이전에 독창적인 방법론을 가지고 『주역』 연구에 활용했다는 점이 정약용 역학의 뛰어남을 증명한다고 생각된다.


This paper explores creativity and meaning of T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s research methodology in Yeokhak(易學) by comparing and investigating a theory regarding xiang(象) among Yeokhak theories with the Qinghuajian(淸華簡) “Shifa(筮法)”. The Qinghuajian “Shifa” is a divination text about the system of shizhan(筮占) written in the Warring Sates period. In “Shifa”, there is a gua(卦) just as the Zhou Yi(周易) has. It also includes guaming(卦名) and each gua and yao have its xiang. Furthermore, the divination statements often determine good and bad fortune 吉凶(jixiong) by analyzing its xiang, and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Shifa” may put emphasis on xiang. In conclus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texts related to shizhan of the Warring Sates period, including the Zhou Yi, emphasized on xiang. According to divination cases of the Zuo Zhuan(左傳), containing plentiful records of divination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Zhou Yi had been often interpreted by analyzing xiang. From this, it can be regarded that the ancient Zhou Yi might be understood focusing on xiang. Tasan Jeong Yak-yong stated that xiang is the key to interpret the Zhou Yi and the basis for understanding it is to use wuxiang(物象) of the “Shuogua Zhuan(說卦傳)”. He supplemented the missing wuxiang in it with reference to the Zuo Zhuan and other texts. If he had known the wuxiang in the Qinghuajian “Shifa”, he would have supplemented the Zhou Yi’s wuxiang based on it. Moreover, Jeong Yak-yong divided the “Shuogua Zhuan” into two parts; chapter one to three had been written by Confucius, on the other hand, the other chapters had been completed by an ancient sage before Confucius. Jeong Yak-yong’s analysis on the “Shuogua Zhuan” is very accurate, except for his mention about Confucius’ writing because chapter one to three of the “Shuogua Zhuan” turned out that they were the parts of the “Xici Zhuan(繫辭傳)” through the chapter “Zhong(衷)” of the silk manuscript Yi Zhuan(易傳) excavated at Mawangdui(馬王堆). It is Jeong Yak-yong’s distinction that he applied creative methodologies into his research for the Zhou Yi much before being introduced moder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