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40-50년대 미국 대외원조의 현장에서는 이전과 다른 ‘실무형 근대화론자들’이 등장하였다. 이들은 기존 연구에서 프론티어 테제와 함께 주목되었던 집단과 1960년대 케네디 정권에 등장했던 로스토우 등의 근대화론자들과는 또 다른 층위의 인물들이었다. 이들은 대략 다음과 같은 기원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1940년대 남미 지역에서 형성된 사업경험을 지닌 인물들, 둘째 미국 내 ‘모릴법 대학’, 유엔, 재단 등에 소속된 인물들, 마지막으로 미국 내무부 개척국과 농무부 경험을 지니고 미국 외교 무대에 투입된 인물들이 그들이었다. 1950년대 미국 대한원조의 실무는 기술협조와 재건기술 두 분야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이 중 기술협조 분야가 이들 실무형 근대화론자들이 한국원조에 투입되는 한 통로가 되었다. 이들은 저개발국의 과업을 산업개발이 아닌 보건위생, 교육, 농업 분야에 대한 지원을 우선시하고, 삶의 질 유지를 우선시하는 ‘낮은 수준의 근대화’를 중요한 원조의 목표로 삼는 이들이었다. 그렇다고 해서 재건기술 분야가 한국의 개발에 적합한 형태도 아니었다. 결론적으로 1950년대 미국의 대한원조정책은 저개발국인 한국에 적합한 형태의 개발원조는 아니었다. 그것은 1957년 미원조당국의 ‘구호에서 부흥으로’라는 선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후복구적 성격이 강했다고 할 것이다. 1950년대 미국 대한원조의 성격을 인물이나, 사건, 시간 순이 아니라 그 자체로 다시 생각해볼 이유가 여기에 있으며, 실무형 근대화론자들의 의의 역시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were such groups, ‘U.S. Practical Modernists’ in the OEC during 1950’s. No one had focused on such groups except a few studies. They have three points to different from others. First, people with business experience formed in South America in the 1940s. Secondly members of the Moral Law College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Nations and the Foundation, and lastly, they entered the U.S. diplomatic arena. Then, the practice of U.S. Korean aid in the 1950s took the form of two fields; technical cooperation and rehabilitation engineer service. Among them, technical cooperation has become a channel for these working-level modernists to be invested in Korean aid. They put ‘Low level modernization’, which puts priority on supporting health, sanitation, education, and agriculture, not industrial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U.S. Korean aid policy in the 1950s was not an appropriate form of development aid for the underdeveloped country. It would still be said that the postwar restoration was strong despite the slogans, “from relief to rehabilitation” in 1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