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강진은 1894년 강진읍성 전투, 강진병영 전투 등 동학농민군과 관군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지역이다. 특히 1890년대를 전후해서 동학이 전파된 이후 이 지역 출신 동학교도들은 1893년 교조신원운동과 1차 봉기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전주성 철수 이후 강진 동학농민군의 독자적인 활동보다는 장흥 동학농민군과의 합세 속에서 도소를 설치한다든지 또는 이후 전투를 치루고 있었다. 이는 강진지역이 갖는 하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강진지역은 동학이 전파되던 초기부터 관과 유생들이 향약을 통해 동학의 확산에 대응해 왔으며, 이는 1894년까지 지속되었다. 이들 반동학농민군의 조직적인 대응으로 강진동학농민군의 독자적인 활동을 제약했으며, 결국 장흥동학농민군과 합세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한 배경 속에서 강진병영에는 반농민군이 동학교도를 내세워 ‘가짜 도소’를 설치했던 것이며, 이를 통해 타지역 동학농민군의 진입을 막을 수 있었다. 또 한가지 특징은 강진에는 해남 윤씨 집안의 동학농민전쟁 참여가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서 다산이 18여년간 유배생활을 한 곳이 강진이며, 외가인 해남 윤씨 집안과의 학문적 교류가 활발했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특히 다산 정약용의 대표적 저서인 『경세유표』가 전봉준 등에게 전해져 혁명의 불씨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는 윤세현이라는 인물이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강진읍지』는 전하고 있다. 윤세현은 강진 대구 출신의 대표적인 동학농민군으로 강진동학농민군을 이끌었던 인물이다. 이는 결국 다산의 개혁사상이 해남 윤씨 집안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학문적 배경이 그들로 하여금 동학농민전쟁에 참여토록 한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결국 그동안 동학농민전쟁의 사상적 배경을 실학사상에서 찾고자 했던 맥락에서 실학과 동학농민전쟁의 관계를 좀 더 실증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Gangjin is the region where fierce battles including the Gangjin fortress battle and the Gangjin barracks battle took place between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the government troops. Specifically, since the transmission of Donghak during the 1890s, the Donghak followers from this region participated in the 1893 Movement to vindicate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and the first uprising. However, after the withdrawal from Jeonju castle, they built Dosos or fought subsequent battles by joining forces with Donghak peasant troops from Jangheung rather than act independently. This may be referred to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Gangjin, In other words, the Gangjin region, authorities or Confucian scholars responded to the spread of Donghak through the Hyangyak from the beginning of the transmission of Donghak in the Gangjin region, and this extended in to 1894. The organized response of the anti-Donghak peasant troops restricted the independent activity of the Gangjin Donghak peasant troops, and ultimately they had no choice but to join forces with the Jangheung Donghak peasant troops. Against such a background, the anti-peasant troops installed a ‘fake Doso’ by putting up Donghak followers, which prevented the entry of Donghak peasant troops from other regions.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the household of the Haenam Yoons in Gangjin noticeably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War. In regards to this,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place Dasan was exiled to was Gangjin, and also that he actively interacted in academics with the Haenam Yoon household. In particular, Dasan Jeong Yak yong’s representative book 『Gyeongseyupyo』 is said to have been delivered to Jeon Bong-jun, and the 『Gangjin Town Chronicle』 says that a figure named Yoon Sae-hyeon deeply participated in this affair. Yoon Sae-hyeon was the representative Donghak Peasant troop to hav hailed from Gangjin Daegu and was a figure leading the Gangjin peasant troops. This means that ultimately the reformative thought of Dasan greatly influenced the household of the Haenam Yoons, and such a scholastic background may have enabled them to participate in the Donghak Peasant War. This seems to be the basis for a more positive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ilhak and the Donghak Peasant War within the context of attempting to fi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Silhak th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