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절약성과 같이 금전적인 자원을 다루는 개인의 성향에 대한 논의는 있어 왔지만 마찬가지로 중요한 자원인 시간 자원의 소비를 다루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중요한 자원 중 하나인 시간 자원의 계획 성향에 대한 타당한 측정 도구의 개발이다. Lynch, Netemeyer, Spiller, 및 Zammit(2010)의 자원소비 계획 성향 척도 문항을 기반으로 시간계획 성향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한국어로 번안하는 과정을 통해 도구를 개발하였고, 관련 척도와 일련의 실험 연구를 통해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우선 25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계획 성향 척도 문항에 대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2요인 모형을 지지하는 6 문항의 시간계획 성향 척도를 구성하였다. 척도를 구성하는 두 요인은 시간계획 구상과 시간계획 행동으로 계획 구상이란 시간을 소비함에 있어서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 정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계획 행동은 선택된 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수행과 관련된 행동 및 성향을 의미한다. 이어 대학생의 시간계획성향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관련 척도들과의 상관분석 결과 시간계획 구상과 시간계획행동 요인 모두 성실성,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 및 계획 행동 관련 척도 점수와 유의미한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3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8 주간의 반복 설문을 통해 척도의 예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시간계획성향 척도 점수가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 시청 행동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간이라는 소비자원을 어떻게 사용할지 계획하는 개인의 성향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청소년과 유사한 실제 대학생들의 계획 실천정도를 확인한 반복검증 연구를 통해 타당화 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scale to measure individual differences in propensity toward time planning. Based on the Generalizable Scale of Propensity to Plan (Lynch, Netemeyer, Spiller, & Zammit, 2010), we developed a scale measuring the propensity to planning time and validated the scale through correlational and experimental studies. With a sample of 257 university students, we conducted a series of factor analyses to construct a 6 items scale. The scale was composed of 2 sub-factors, namely; time planning conception, and time planning action. Planning conception referred to the process of determining how to use time, whereas planning action meant actions and inclinations related to the fulfillment of the selected action. To validate the scale, correlation analyses with related scales were conducted. Both the time planning concept and the time planning behavior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integrity, lack of patience in uncertainty and other planning behaviors.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scale was examined during the 8 weeks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for 34 university students taking an online cour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ale score predicted the degree of consistency between the time they watched streaming videos and the time they had indicated to watch such videos in the future.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