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17세기 초 소북 정권의 성립과정을 정치사적 흐름에서 다시 한 번 고찰하는 것에 있다. 소북 정권의 탄생의 배경에는 북인들과 선조의 영합이 있었다. 선조는 임진왜란, 정유재란 이후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대외적으로는 강경론자를 자청하면서 明으로부터 재신임을 얻고, 대내적으로는 明의 권위를 활용하여 공신 서훈 작업과 존호 제정 작업을 통해 정권의 정당성을 유지하려 했다. 북인들은 이러한 선조의 요구에 조응하여 대외강경론을 전개하며 ‘화의론자’들을 배척하는 한편, 최영경이라는 인물을 선택하여 기축옥사의 부당함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선조와 소북 정권의 결탁은 17세기 초 조선의 정치 상황과 관련하여 상당히 역설적인 결과를 이루어냈다. 선조와 소북 정권은 明의 권위에 의존하고 明의 은덕을 강조함으로써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여, 결과적으로는 독자적인 대내외 정책을 펴나갈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전략은 明이 강대국으로서 존재할 때에나 효과적인 것으로 결과적으로는 고식지계에 불과했다.


The goal of this essay is to research the foundation of the Sobuk Regime. The backgroun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buk regime was the coalition between King Sunjo and Bukin. King Sunjo externally pretended to be a hawk and internally used Ming China's authority for performing commemorations and for establishing eulogistic titles in order to reinforce his legitimacy. Bukin corresponded to King Sunjo's request by taking strong stands on diplomatic issues to exclude doves. The coalition between King Sunjo and the Sobuk regime caused rather paradoxical results. By depending on Ming's authority and emphasizing Ming's favor, King Sunjo and the Sobuk regime were able to reinforce their respective sovereign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