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한글 해득 정도에 따라 보충 교육이 필요한 학생의 교수·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한 웹기반 CR-CBA(criterion-referenced curriculum-based assessment) 한글해득수준진단검사도구(한글 또박또박)의 측정학적 적합성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소재한 초등학교 1학년 10개 학교에서 17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글 또박또박」 (가)형과 (나)형을 실시하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 KOLRA 단어 읽기 유창성과 K-TOLD 단어 읽기 유창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글 또박또박」의 전체 점수에 대한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가)형이 0.98, (나)형이 0.97로 문항 간 내적일관성이 높았으며, 동형검사 신뢰도는 0.98로 유의도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내용 타당도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수용 가능한 CVR 이상을 나타내었다. KOLRA 단어 읽기 유창성에 대한 공인타당도는 0.69, K-TOLD 단어 읽기 유창성에 대한 공인타당도는 0.55∼0.56이었으며, 모든 타당도 계수가 유의도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한글 또박또박」은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한글 해득 정도를 살펴보기에 측정학적 적합성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학교 현장에 주는 함의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chnical adequacy of a CR-CBA Hangeul Assessment(Hangeul Ddobak Ddobak) for grade 1 students in primary schools. Hangeul Ddobak Ddobak has been developed to examine the level of mastery in Hangeul and provide useful instructional information to teach students who need additional help. One hundred and seventy seven frist grade students from ten different classrooms across n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forms of Hangeul Ddobak Ddobak was administered to all students individually. During the same period, KOLRA Word Reading Fluency and K-TOLD Word Reading Fluency sub-tests were administered to individual student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0.98 and 0.97 for each form of Hangeul Ddobak Ddobak, and alternate form reliability coefficient was 0.98 (p < .01). In general, across most areas, content validity met an acceptable level of CVR. Concurrent validity coefficients were 0.69 for KOLRA Word Reading Fluency and 0.55∼0.56 for K-TOLD Word Reading Fluency, and all coeffic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1).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adequate technical features of Hangeul Ddobak Ddobak, supporting the use of the assessment to examine student performance on Hangeul literacy in school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r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s were inclu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