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공황장애에 관한 기독교 상담적 접근으로서 공황장애의 주요인지적 특징인 파국적 사고에 대한 기독교 인지행동치료를 기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황장애의 핵심증상인 공황발작이 신체감각에 대한 파국적사고의 결과임을 고찰한 후, Barlow와 Craske에 의해 개발된 PCT(Panic Control Program)에 대해 살펴본다. 이어서 기독교적 사고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단일사례를 통해서 기독교적 인지행동치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고찰한다. 본 연구는 Powlison의 나무 모델과 김준이 체계화시킨 성경적 변화모델을 기초로 하여 삶의 다섯 가지 영역인 동기, 생각, 감정, 반응, 열매를분석한다. 진정한 변화는 다른 네 가지 영역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효과적으로 만들어지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동기의 관계적 변화에서 기인한다. 연구결과는 공황장애의 원인과 발전과정, Clark의 공황장애 인지모형에 따른 본 사례의 신체감각의 파국적 사고과정을 분석한다. 공황장애 파국적 사고의성경적변화는‘신체감각에대한파국적사고끊어내기’,‘ 신앙적모순발견하기, 객관적신앙적사고증가시키기’,‘ 파국적사고의동기파악하기’,‘ 말씀으로논박하기’,‘ 파국적사고의인지재구조화하기’과정으로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by investigating catastrophic thought process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a panic attack client.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employs a single case qualitative study and explains how catastrophic thought process changes in the client’s cognitive process in Christian perspective. First, it explains that panic attach is the result of catastrophic thoughts, and introduce Barlow & Craske’s Panic Control Programs. Then, it provides the necessity of Christian intervention, and investigates how Christian CBT works by using a single case study. Based on Powlison’s tree model and Kim’s Biblical cognitive approach, the study analyses the five areas of motives, thought, emotion, response, and fruits of life. It concludes that real change comes by changing motive through relationship with Christ, which can effectively done through systematic analysis of other four areas of person.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study investigates cognitive process of the client following Clark’s cognitive model, and then evaluates cognitive process, motives in Christian perspective. Biblical changes in the client includes “cutting catastrophic thought”, “finding discrepancy in personal faith”, “increasing objective view on faith”, “finding motives of catastrophic thought”, “refuting using God’s words”, “cognitive restructuring of catastrophic thou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