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북한의 무역권을 재산권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특히 무역제도로부터 무역권을 사용권, 양도권, 발효권, 소득권으로 분할 구성하였다. 이는 북한 무역의 분권화 과정을 다양한 각도로 분석하여 북한 무역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실마리가 된다. 북한 무역 메커니즘 관련 기존 연구는 정치역학적 관계나 분권화 차원에서 시도되었으나 분권화 개념이 모호하거나 특수경제 범위만 다루었다는 한계가 있다. 북한 경제를 이행경제 차원에서 재산권으로 접근한 연구도 있으나 유형자산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북한에서는 경제활동 자체가 재산권이 되기에 북한 경제 이해에 있어 무형의 경제활동 권리를 분석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1990~2015년 내각 무역을 범위로 북한 무역권의 구성 변화를 개별 무역품목 및 국민경제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무역 통제와 활성화라는 모순된 목적 달성을 위한 북한의 제도 변화를 무역권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무역단위의 권리 행사 수준을 수치화하여 시기별 자율성 정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 무역을 재산권 차원에서 접근한 새로운 시도가 되고 향후 북한의 무역관리 방법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rade rights in North Korea in the perspective of the property rights. Trade rights are composed of four different rights through the trade institutions in North Korea; rights of control, rights of transfer, rights of implementation, and rights of residual income. These form the premise of the analysis. We can deeply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rade in North Korea in the view of decentralization through this approach. Existing researches are mostly about decentralization of trade rights which is not upon the specific notion of decentralization, nor upon the political impacts on trade systems that is limited to privileged parts in North Korean economy. There are also some researches about tangible property rights in North Korea, regarding North Korean economy in the progress of transition. Since the economy in North Korea is managed by plans and control of the regime, it is also important to study intangible rights that makes it possible to be engaged in business behaviors, which has not tried before. On the basis of som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mentioned,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the composition of trade rights in North Korea from 1990s to 2015 in the range of the economy managed by North Korean cabinet. It focuses on analyzing trade rights in different view on individual item unit, individual trade unit, and national economic perspective. Through these analysis, we can see the institutional changes and the regime’s tries to control and increase trade at the same time in Nor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