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아동문학수업의 경험이 현직 보육교사인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주는지, 또한 교사의 역량개발에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한 학기동안 아동문학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 중 현직 보육교사로 재직 중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질문지와 전화면담 등을 통해 이루어졌고, 자료의 분석은 개방적 코딩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수업을 통해 분류된 의미체계는 자신이해 및 성장, 타인 이해 및 소통, 실무능력향상, 그림책에 대한 인식 변화 등 네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즉 그림책을 활용한 아동문학 수업을 통해 먼저, 자신을 성찰하고 내면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었으며, 자기표현의 기회를 통해 자신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고 타인을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을 통해 경험한 교수법을 현장에 적용하고 그림책 관련 수업계획안을 작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매체제작활동을 통해 실무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그림책을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는 것과, 확장활동이 가능하며, 교육활동의 대상 역시 다양하다는 것을 알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수업이 유아뿐 아니라 교사나 부모교육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meanings of experience in children's literature course using picture books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currently as childcare teachers, and also how it could be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s' qualification.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the telephone interviews and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learners currently working as childcare teacher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children's literature course for a semester. For data analysis, the open coding method was used. I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semantic system through the literature course using picture books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self-understanding & growth, understanding of others & communication, improvement of practical work ability, and changes in perception of picture books. In other words, through the children's literature course using picture book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irst, introspected themselves, cured their inner wounds, and also improved self-confidence through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thinking. Second, on top of learning about the preciousness of family,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others and to communicate with them. Third, they were able to write lesson plans related to picture books by applying teaching methods learnt from the course to the site, and also their practical work ability was improved through the media production activity. Fourth, they learnt that picture books could be approached from diverse perspectives, many extensive activities could be done, and picture books could be applied to diverse educational activities. Such results suggest that the literature course using picture books could significantly influence young children and teachers or parent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