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다문화시대 고등교육기관에 진입하는 다문화배경 학습자는 점차 증가하는 반면, 그에 대한 고등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의 지원체 제는 미비하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다문화배경 학습자 대상 고등평생 교육 지원방안을 다각도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정책 및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국내 대표 사례로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선정하여 전문가 협의회 및 학습자 집담회, 설문조사 및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배경 학습자 대상 고등평생교육 지원방안은 다음의 기 본방향을 토대로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다문화배경 학 습자 대상 고등평생교육 지원제도 수립 방안으로서 1 대학입학을 위한 학력인정제도 개선, 2 특성화 교양과정 운영의 학점인정제, 3 졸업 요건 내실화를 위한 한국어능력인증제 도입을 제안하였다. 둘째, 다문화배경 학 습자 특화 입학 및 학사 상담체제 구축의 방안으로서 1 다문화배경 학습 자 지원을 위한 전담기구 신설, 2 전담 인력 및 학내 구성원 대상 다문화 인식교육 제공방안을 모색하였다. 셋째, 고등평생교육과정 운영 및 학습 지원체제 수립의 방안으로서 1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지원 강화, 2 고등 교육 수학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교육 지원체제 수립(안)을 체계화하였다. 넷째, 학업과정에서의 중도탈락을 방지하고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지원하는 전략으로서 다문화배경 학습자 간의 인적자원 연계 및 커뮤니티 활성화 지원의 필요성과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다문화배경 학습자의 경력개발 및 체류 지원체제 조성방안으로서 1 경력개발 및 취업지원 프 로그램 제공, 2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졸업 후 안정적 체류자격 취득지원 서비스를 구안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배경 학습자의 중등이후 교육에 대 한 실제적, 이론적 관심이 부족한 상황에서 학습자의 경험적 요구를 기반 으로 총체적인 고등평생교육 지원방안을 도출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Based on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that colleges and universities provide poor supportive systems as higher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growing number of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o enter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in the multicultural era, this study set out to explore the roles and supportive system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support the expanded opportunities of higher lifelong education, capabilities of academic performance, and connection of capabilities to the labor market after gradu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related policies and cases home and abroad and selected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s a representative case of South Korea to conduct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round the major issues and needs identified at meetings of experts and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findings show that the following basic directions should be based to explore supportive systems for higher lifelong education for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first,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plans to support higher lifelong education of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mproving the credit recognition system to enter college; introducing a credit recognition system into the liberal art courses for characterization; and introducing a Korean proficiency certificate system for the substantiality of graduation requirements. Second,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plans to build a system for specialized admission and academic consultation of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stalling an agency devoted to the support of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providing education on multicultural awareness to the devoted personnel and staff members on campus. Third,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plans to run a higher lifelong education course and a supportive system for learning: reinforcing support for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systemizing the supportive system plan for basic education to increase learning abilities for higher education. Fourth, the study proposed a couple of strategies to prevent drop-out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support successful college life such as connecting human resources among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supporting the activation of their community. Finally,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plans to help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develop a career and build a system to support their stay: to provide programs to help them with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support and to devise a service to help married migrant women obtain a stable stay qualification after grad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