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의 질 관리 도구를 개 발함으로써 K-MOOC의 질적 성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특히 교수설계 등 전문지식이 없는 대학 교수자가 내용전문가로 참여하는 K-MOOC 사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질 관리 도구는 의사결정에 도움 을 줄 수 있도록 질 관리 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가진 체크리스트 형태로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우선 온라인 콘텐츠 개발 및 글로벌 MOOC의 질 관리를 위한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K-MOOC 강좌 질 관리를 위 한 대 영역 및 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영역 및 지표에 대한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평가하기 위해 1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계층적 의사 결정법)를 수행하였고, 일관성 비율에 따라 8명의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분 석되었다. 연구 결과로는 4개 영역(콘텐츠, 활동, 평가, 지원)에서 총 20개의 지표가 도출되었다. 20개의 지표 중 가장 중요도가 높은 지표로는 내용의 적 절성(1위), 목적의 명확성(2위), 교수 전략의 적절성(3위), 내용의 흥미도(4위), 구조의 명확성(5위)으로 강좌의 내용 영역에 대한 중요도가 K-MOOC의 질 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평가도구(지표 및 체크리스트)는 K-MOOC 강좌 에 대한 질 관리를 위한 평가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 다. 또한 강좌 개발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호 보완적인 의사결정(trade-off) 을 위한 절차를 돕기 위해 AHP 결과를 통해 지표의 순위를 도출함으로써 각 K-MOOC 사업의 성과 측정 프레임워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As the use of the MOOCs(Massive Open Online Courses) is widened and diversified, MOOCs contribute to transforming a paradigm of open lifelong learning systems as well as playing a role in innovating higher education systems. In Korea, since K-MOOC was initiated in 2015, it has been achieved quantitative growth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many universities. In this respect,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growth of K-MOOCs by developing a quality assurance tool in K-MOOC platform, In particular, the quality assurance tool will be developed as a checklist with importance scales on the indicators to help decision making by reflecting the context of K-MOOC projects driven by Korean government.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of all,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quality assurance in both online contents development and the global MOOCs were analyzed, and the categories and indicators for the quality assurance of K-MOOC were induced. To measure and judge the priority scales on those, 10 experts were recruited and conducte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fter the judgement level were validated, 8 experts data which were proved to be consistent were included. The results show that the checklist for the quality assurance of K-MOOC consists of 4 categories and 20 indicators. Among 20 indicators, contents is the most crucial area for quality assurance of K-MOOC course, representing the priority such as relevant contents(1st), clear course objective(2nd), proper learning strategies(3rd), interests(4th), clear course structure(5th).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on building a foundation on K-MOOC quality improvements by providing a quality assurance tool. It can also contribute to utilizing the tool as an effectiveness evaluation framework as well as in decision making process through the priority scale when decisions needs to be traded o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