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대학평생교육에 대한 참여요구가 증가하고 고등교육 보편화가 이 루어지면서 원격대학 학습자의 연령분포와 성격에 변화가 나타났다. 종전 에는 고등교육 기회를 실기했던 20~30대 학습자가 주를 이루었다면 최근 에는 연령대의 분포가 다양해지고 대학 유경험자의 비율도 증가하였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원격대학 학습자를 청년 세대, 중년 세대, 신노년 세대 로 나눈 후 세대별로 원격대학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특성 및 학업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분포, 입학 전 학력분 포, 직업 유무, 월평균 소득, 스스로 인식한 사회경제적 지위, 일.가정. 학습.여가에 대한 주당 소여시간,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교육비, 삶과 교 육에 대한 가치 부여 등 사회문화적 특성에서 세대 간 차이가 확인되었고, 입학 유형, 대학 진학 동기 및 장애 요인, 학업에 대한 자부심 및 주변 지 지, 학업 장애 요인, 학업중단 고민 여부 및 해결방법, 선호 학습방식, 원 격대학에 대한 학사개선 요구, 선호 전공, 관심 강좌 등 학업에 대한 인식 에서도 세대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불안 정한 청년 세대는 학업에 대해 도구적 관점을 가지고 빠른 학위취득을 원 하며, 사회경제적 안정을 유지하기 원하는 중년 세대는 학업에 대해 보험 적 관점을 가지며 학습시간 확보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상대적으 로 시간 여유가 있고 교육에 큰 가치를 부여하는 신노년 세대는 학업과정 자체를 중시하는 내재적 관점을 가지며 고급지식 획득과 가치 있는 시간 활용을 원한다. 이 연구는 고등평생학습기관으로의 변모에 직면한 원격대 학의 정책방향에 시사하는 바가 있으며, 대학평생교육 전략 모색에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perception of 3,297 students who attend Korea’s open university. The groups of students were classified by generation - the youth, middle-aged, and new-silver.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differences among the generations were statistically confirmed in terms of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academic perceptions. The youth generations with unstable socioeconomic status wanted to quickly earn a degree based on the instrumental perspectives. The middle-aged generations, who generally seek to maintain socioeconomic stability, perceived learning as an insurance and experienced difficulties in securing enough learning time. The new-silver generations, who are able to invest relatively sufficient time and tend to assign a greater value on learning, possessed an intrinsic perspective that emphasizes the academic process itself. Additionally, they wanted to acquire advanced knowledge and manage their time in a valuable way.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vehicle not only for suggesting policy directions for open universities as an agent of lifelong learning, but also establishing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lifelong learning in a higher education set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