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가족주의가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은 그 어떤 사회에서보다도 뚜렷한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그것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측면에서 영향을 미쳐왔는가에 대한 개념적 합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가족주의라는 용어는 상황에 따라 정반대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한국 가족주의 개념을 다루는 기존 연구들을 검토해 개념의 모호성을 밝힌다. 다음으로 개념적 모호성의 핵심 원인에 한국 가족 관념에 대한 모호한 인식이 있음을 지적하고, 한국 가족 관념에 대한 대안적 모형화로서 네트워크형 가족 개념을 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국 가족주의라는 문화적 현상을 한국 사회의 사회결합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해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가족을 독립적 집단으로 보고 그것의 고유한 기능을 찾는 것이 아니라, 개인-가족-사회의 인간 결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시각에서 가족 형성의 문화에 대해 고찰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In Korea, it is often regarded that the familism has had a greater impact on the society than i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There seems to be, however, no conceptual agreement concerning what characteristics it has and how it has affected Korean society. The term ‘Familism’ is sometimes used to mean oppsite implication by various studies. In this paper, we attempt to clarify the concept of familism in the Korean context, by taking previous studies into consideration dealing with the meaning and origin of the term, ‘Korean Familism’. Also, we point out that the ambiguous perception about the concept of family in Korea is a critical factor in producing such conceptual complexity and ambiguity in Familism. Finally, we propose the “Network type Family Model,” not “Group type Family Model,” as an alternative way to conceptualize the Korean Family Model. By applying this model, we provide a way to analyze the culture of Korean familis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ocial associations in Korean society. This is not to look at the family as a fixed unit or group and find its function, but to consider the culture of family formation from a holistic perspective of human association in various level(person-family-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