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금까지 칸트의 윤리학에서 양심개념이 왜 등한시되어 왔을까? 혹시 어떤 개념이 너무나도 포괄적이기 때문에 다방면에 걸쳐 분절형태로 나타날 경우, 해당 개념 자신은 배후로 후퇴하는 것은 아닐까? 분명히 칸트의 여러 진술에서는 양심현상이 배후에서 일관되게 드러나 있다. 그런데 양심이 전면에 드러나지 못하는 원인의 하나는 정초된 객관적인 도덕법칙이 주관적인 양심개념과는 통약불가능하다는 입장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칸트의 양심개념은 통상의 양심개념을 극복하고서 형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양심개념의 틀과 도덕법칙개념의 틀과 통약은 가능해야 한다. 본 논문은 칸트의 양심개념에서 도덕법칙으로 되비추어서(逆照射) 그러한 의구심의 해결을 목표로 한다. 이 해결의 열쇠는 칸트 비판철학의 사고법에 작용하는 법정모델이다. 따라서 먼저 법정모델은 사변철학에서 뿐만 아니라, 실천철학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해야 할 것이다. 즉 양심법정의 토대와 정초로서 법정모델이 무엇인지를 고찰할 것이다(2절). 다음으로 양심법정의 사고법과 구조를 일본의 칸트철학자 이시까와(石川)의 무한판단론에 근거하여 살펴볼 것이다(3절). 그런 다음 양심법정설과 양심이성기원설의 상관성을 고찰하고(4절), 마지막으로 양심개념으로부터 도덕법칙으로의 되비침을 통하여, 정언명령을 수반한 칸트의 실천이성이 양심인 것으로 도출될 것이다. 그 결과 칸트의 객관적 윤리체계와 주관적 윤리체계의 통약가능성을 확인될 것이며, 그 공통분모가 법정모델인 것이 규명될 것이다. 그리고 칸트의 양심개념은 칸트 윤리학의 배후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음이 규명될 것이다(5절).


Why has the concept of conscience in Kant’s ethics been neglected thus far? Is a concept relegated to the background when it encompasses a multitude of fields, thereby appearing too fragmented? It is certain that the concept of conscience consistently appears in the background in many of Kant’s statements. One of the reasons why it cannot be discussed openly could be that the objective moral law is commensurate with the subjective concept of conscience. Nonetheless, Kant's concept of conscience took shape in contrast with the conventional concept of conscience. Thu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onscience and that of moral law should be commensurate with each other. This paper addresses this issue with the aim of settling any discordance by applying the reversal methodology on Kant's concept of conscience and moral law. The key element to the resolution is the court model that applies to any thinking processes in Kant’s critical philosophy. First, we need to verify that the court model can be applied equally in both speculative and practical philosophy. In other words, we need to determine what the court model means in terms of foundation and groundwork for the court of conscience(Section 2). Second, we analyze the thinking method and structure of the court of conscience based on Japanese Kantian philosopher Ishikawa Fumiyasu’s Theory of Infinite Judgement(Section 3). Then, we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urt of conscience and the genesis of rational conscience(Section 4). Finally, this reversal study leads us to conclude that Kant’s practical reason that accompanies categorical imperatives is indeed the conscience. As a result, the commensurateness of Kant's objective and subjective ethical systems is verified, their common denominator being the court model. This elucidates the fundamental role played by the concept of conscience behind Kant’s moral philos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