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과 공공부문의 아웃플레이스먼트 수행에 대한 체계적인 비교, 분석 연구를 통해 각 부문별 효율적이고도 맞춤화된 아웃플레이스먼트 수행 방향성을 탐색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민간부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아웃플레이스먼트에 관한 논문과 공공부문 조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논문을 상호간 비교하는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웃플레이스먼트는 1997년 국내 도입이후 꾸준히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2010년 이후로 본격 활성화되고 있다. 둘째, 아웃플레이스먼트의 학술논문 출처 및 학술지분야에서는 교육관련 분야가 가장 많았다. 셋째, 아웃플레이스먼트의 주요 개념에 있어 민간부문에서는 실행방식 측면의 개념들이 다수를 이루었고 공공부문에서는 실행목적 측면의 개념들이 다수 사용되었다. 넷째, 민간과 공공부문의 아웃플레이스먼트 주요 관점에 따른 목적은 퇴직자 관점을 중심으로 재취업의 목적이 가장 많았으며 민간부문에서는 특히 경제 및 재무의 목적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다섯째, 아웃플레이스먼트의 수행 주체에 있어 민간과 공공부문 모두 조직자체&외부기관의 활용이 많았고, 민간부문에서는 외부전문기관을 활용하는 케이스도 적지 않았다. 여섯째, 그간 국내에서 진행된 아웃플레이스먼트의 문제점들에 있어서는 형식적이거나 차별화되지 않는 교육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언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안으로 실질적인 취업과 연계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민간부문은 경제교육에 대한 필요를 가장 많이 언급하였으며 공공부문은 아웃플레이스먼트 교육 시행기간 연장에 대한 필요성을 다수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icient and customized outplacement direction for each department through systematic comparison and analysis of outplacement performance of private and public sector. To do this,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comparing outplacement articles for private sector employees and for public sector employe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outplacement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since its introduction in Korea in 1997, and has been in full swing since 2010. Second, in the field of academic publications and academic journals of outplacement, education related fields were the most common. Third, in the main concept of outplacement, the concept of executive aspec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private sector, and the concept of executive object has been used in the public sector. Fourth, the purposes of outplacement of private and public sector were mainly the purpose of reemployment, especially retirees' perspective, and the private sector was the next most important economic and financial purpose. Fifth, Principal agent of Execution in the private sector and the public sector used the organization itself and outside organizations, and the private sector used external experts. Sixth, the problems of outplacement in Korea have been mentioned most in perfunctory and equivalent education programs. A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was proposed in relation to practical employment. In addition, the private sector has addressed the need for economic education the most, and the public sector has raised the need for extension of outplacement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