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건거지(巾車志)』의 작품 세계를 본격적으로 다루었다. 작품에 나타난 자의식과 작중화자의 형상, 시간의식과 구성의 문제, 그리고 표현 방식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건거지』 작품이 지니는 일기문학으로서의 특징적 면모를 구명하였다. ‘나’를 표현하는 1인칭대명사의 사용 빈도가 여타 한글 일기작품보다 현저하게 높다는 점에서 『건거지』 의 중요한 특징을 찾을 수 있으며, 이것이 이 작품이 강한 자의식을 표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작중 화자의 심중에 자리한 극단적 절망감과 상실감을 여러 곳에서 표현한 『건거지』에는 남편이 죽고 난 이후 소현세자파의 유일한 혈육으로 남아 있는 두 아들을 끝까지 지키면서 살고자 하는 작중화자의 형상을 인상적으로 묘사하였다. 또한 『건거지』는 과거 기억 속의 수많은 장면 가운데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것들을 선별하여 이를 유기적 질서 속에 배치함으로써 과거 불행했던 시절의 자기 모습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작품에 나타난 시간의식과 관련해 체험시점의 자아와 객관적 대상화의 거리를 두는 변화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그리고 작중화자는 남편인 경안군의 과거 시절 모습을 대과거 회상의 방식으로 표현함으로써 소현세자의 急逝와 강빈의 억울한 죽음, 경안군 형제의 유배와 요절, 소현세자의 유일한 혈손이었던 두 아들의 유배 등 3대에 걸쳐 지속하여 오는 왕실가문의 비극적 운명과 불행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건거지』는 사건 중심의 구성 방식을 택하였으며, 지난 과거의 삶 속에서 유의미한 단면들을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유기적으로 구성 배치하였다. 또한 『건거지』는 사건 중심으로 이야기를 서술해 나가면서 때때로 편지, 문서 등을 직접 인용하여 활용하기도 하였다. 『건거지』는 작품 구성의 측면에서 인물간 대화를 기본 축으로 하면서 장면 묘사와 감정 표현 등을 적절하게 상호 교착시켰으며, 또한 꿈과 한글 편지, 慈殿에게 올리는 글 등을 작품 중간중간에 배치하였다. 작가는 독자가 당시의 상황 전개를 보다 현장감 있고 생생하게 연상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문학적 장치를 고안하였다. 특히 인물간의 대화를 대폭 확대하였으며, 사건 서사의 박진감 넘치고 생동감 있는 묘사를 통해 서사적 긴장을 가져오게 하였다. 『건거지』에서 우리가 또 하나 주목해야 할 점은 작중화자의 내면 심리와 감정 표현이 뛰어나다는 점이다. 이 점은 ‘나’를 지칭하는 1인칭대명사의 사용 빈도가 여타 일기작품에 비해 현저하게 높다는 사실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건거지』와 인접 장르의 연계성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를 통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 17세기 이후 문학사의 전개에서 實記와 小說의 관계가 중요하게 취급되었는데, 『건거지』 작품내에 보이는 서술 표현상의 제반 특징들은 이 시기에 들어와 발달했던 소설 장르의 문법과 상통하는 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를 계속 진행하고자 한다.


I overviewed Bunseonggun Heossi’s diary work which was writen by Hangul. Kimghae Heossi was a daughter-in-law of Sohyeonseja and a wife of Gyeongangun. She was a member of court ladies. She was bereaved of her husband and raised two young boys. In 1679 she experienced a great misfortune. Her boys was banished to Jeju Island. At that time she accompanied her son with her daughter-in-law during six years. She recorded her family’s sufferings in 1715. In this thesis I overviewed the life of Bunseonggun Heossi and the important contents in Geongeoji. From the subject consciousness I bring memory and recall of royal family’s suffering into relief. Bunseonggun Heossi allowed the work to be 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s. Geongeoji also carries significance in terms of translatio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