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보광사는 속초 도심 한가운데 자리한 사찰로 1938년 창건되었다. 사찰의 연혁은 격변의 시기인 근대기 불교계의 변화와 흐름을 같이 한다. 1930년대 금강산 안양암과 미타암의 주지였던 화담스님이 속초 영랑호 주변 불당골에 포교당으로 설립한 곳이 도심 속 보광사이다. 화담스님은 폭우로 유실된 안양암으로부터 지장보살상과 현왕도 및 신장도 등 불화 2점을 이운하여 보광사에 모셨다. 본 논문은 1930년대 금강산 안양암으로부터 이운해 온 것으로 전하는 1865년제작된 <현왕도>를 중심으로 도상 형식과 특징을 살펴보고, 복장원문을 통하여 원 봉안처와 제작자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보광사 소장의 <현왕도>는 8폭의 병풍을 배경으로 양손에 홀을 잡고 정면향으로 앉은 모습의 현왕을 중심으로 권속들을 배치한 형태이다. 지물을 손에 든 천동천녀 및 판관들로 구성된 주변 권속들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형식이다. 이같은 형식의 현왕도는 18세기 전반 이른 시기 제작된 고식 계열 현왕도의 구성이나 형식을 계승하고 있다. 특히 정면향이나 권속들의 자세와 좌우 배치, 손에 든 지물, 병풍 표현 등에서 동일 초본을 공유를 추정할 수 있는 작품으로 예산 <보덕사 현왕도>(1865)가 있다. 아울러 동일 화승인 法仁의 참여 사실과 함께 새로운 화승의 발굴이라는 점에서 <보광사 현왕도>는 의미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Bogwangsa Temple is a temple located in the heart of Sokcho and was founded in 1938. The history of this temple represents the changes and flow of Buddhism in Korea in the modern times. In the 1930s, Priest Hwadam, who was the head of Mt. Geumgang's Anyangam Hermitage and Mitaam Hermitage founded it in Buldanggol near Yeongnangho Lake in Sokcho to spread the religious teachings. As Anyangam Hermitage was lost in a heavy rainfall, Priest Hwadam brought Jijangbosalsang and two Buddhist paintings -Hyeonwangdo and Sinjangdo and so on- to enshrine at Bogwangsa Temple. This study discussed the images and characteristics of <Hyeonwangdo> which was created in 1865 and said to have been moved here from Mt. Geumgang's Anyangam Hermitage in the 1930s and examined the original place of enshrinement and creator through Bokjangwonmun. <Hyeonwangdo> in Bogwangsa Temple is a drawing of Hyeonwang who is seated in the middle holding a tablet in both hands in front of an eight-sided screen and his family is around him. His family, including Cheondongcheonnyeo and Pangwan holding symbolic objects, is arranged bilateral symmetrically. The position and arrangement of the family and the objects and screen in <Hyeonwangdo of Bogwangsa Temple> are almost the same with <Hyeonwangdo of Bodeoksa Temple (1865)> in Yesan. Both pieces succeed the layout and style of the old-fashioned <Hyeonwangdo> created in the early 18th Century and the same sketch was shared by Beobin, the Buddhist painter of <Hyeongwangdo of Bogwangsa Temple>, who also participated in creating <Hyeonwangdo of Bodeoksa Temple>. In this respect, <Hyeonwangdo of Bogwangsa Temple> would be a meaningful resource for the discovery of a new artist called Beobin.